2. |
단양 수박 재배 현황 및 기술.
가. 수박재배 현황
□ 재배 동향
(단위:ha)
연도 |
면적 |
노지면적 |
비고 |
97 |
348.8 |
343 |
|
98 |
365.3 |
362.6 |
|
99 |
243.6 |
236 |
|
-재배면적은 '97년보다 '98,'99년은 크게 늘었으며 노지 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나. 접목후 온상 관리
○ 접목 후 온도, 습도 관리 철저 ○ 접목부위 보호 |
□ |
접목상 관리
○○ |
접복상 온도는 23~25도, 습도 75~80%를 유지(활착유도) 접목 후 접목 부위에 수분이 닿지 않게 주의하고 3~4일간은 관수가 어려우므로 접목 후 포트에 심을 때 충분한 관수를 하고 온상 바닥에 물을 뿌려 습도 유지 |
○ |
차광 하다가 1~2일후 아침 저녁으로 광선을 쪼이고 접목 7일후 충붆리 광선을 쪼여 활착을 촉진 |
○ |
맞접인 경우 접목후 2주 정도 경과하면 (활착이 완료되면) 생육상태에 따라 대목의 자엽부분과 접수의 뿌리 부분을 절단 |
○○ |
절단 후 2~3일간은 접목사에서 관리 이후부터는 일반온상과 같이 관리하다가 정식 1주일 전부터는 묘를 경화시켜 본엽 5~6매때 정식 |
○ |
접목상에서 대목의 생장점 부위에서 부정아가 발생하는데 어릴 때 빨리 제거하여 정상적 생육이 되도록 관리 | |
다. 정지 및 적과
○ 판로에 따른 알맞은 착과 및 적과 ○ 규격상품 생산 |
○○ |
규격상품의 과실을 생산하려면 정지와 적과 작업을 해야 한다. 주지 4~5절에서 적심하여 1차측지(아들덩굴)에서 나온 측지 가운데 생장이 균일한 2~3개만 남기고 제거한다. |
○ |
이후에 발생되는 2차측지(손자동굴)는 착과 전까지는 적심하여 주고 착과 되면 방임하여 관리한다. |
○ |
수박의 초세는 생육정도에 따라 차고가에 많은 영향을 주고 품질에도 관련되므로 초세에 따라 비배 관리를 해야 한다. |
○ |
초세 진단에서 생육이 약하면 마디길이가 짧고, 생장점 가까운데 (30cm이내)에서 암꽃이 착생, 숯꽃이 많이 개화, 생장점 부위가 지면과 나란히 또는 뭉뚝하게 생육 |
○ |
초세 진단에서 생육이 왕성하면, 생장점에서 멀리 암꽃이 착생(60cm), 마디사이가 길고 생장점 부위의 줄기가 위로 생장, 암꽃이 작고 착과가 잘 안됨, 엽병의 길이가 길고 잎이 정삼각형 모양이 아닌 경우 |
○○ |
이와같이 생육상태가 중간형으로 생육하도록 비배 관리에 주의 착과 위치는 온도가 낮을 때(15도 이내)는 주지 20마디 이상, 측지는 15마디 이상 필요, 온도가 생육적온일때 (최저 18도이상)는 주지는 16절 내외, 측지는 11절내외에서 착과 |
○ |
수박꽃은 아침 일찍 개화하므로 기상악화 ,매개 곤충이 적을 때는 반드시 수분작업(개화당일 오전 10시 이내)이 필요 |
○ |
과실비대는 착과 후 20일 이내에 과형이 형성되고 이후에도 과실이 커지므로 이 시기에 비래 관리 철저 |
○ |
수박 잎과 곁가지 관리 기술착과 마디 아래의 곁가지 1본을 남기는 것이 곁가지를 모두 제거하는 것보다 상품화 율이 향상되어 17%의 증수효과를 볼 수 있다. |
라. 주요 병해충
병해충명 |
발생시기, 조건 |
증세와 특징 |
바제농약 |
탄저병 |
- 강우가 계속되어 기온이 낮아질 때
- 다습시 줄기무성하여 통풍 불량시 |
- 잎,줄기,과실에 발생
- 암갈색의 타원형, 발추형의 병반 발생 |
다코닐, 델란액상, 포룸만, 크린힛, 삼진왕, 베푸란, 고추탄 |
역병 |
- 물에 의해 전염
- 산성, 배수 불량토양침수,관수후 다습조건에서 발생
|
- 잎,줄기,과실에 발생
- 잎에는 앞록색의 원형반점이 생기고, 줄기에는 잘록병 같이 수침상
- 시들다 말라 죽음 |
포룸만, 크린힛, 리도밀, 쿠퍼
|
만고병(덩굴마름병) |
- 20~24도에서 많이 발생
- 지표면 부근 접목부위에서 발생
- 통풍불량, 과습시 발생
|
- 잎,줄기,과실꼭지에 주로 발생
- 줄기가 다갈색 또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진다
- 줄기가 말라 썩으며, 다습시 홍새으로 점질물 분비 |
푸르겐, 삼진왕, 시스뎅, 다코닐, 바이코, 헥사코나졸, 바이코에이
|
만할병(덩굴쪼김병) |
- 산성토양(pH4.5~4.8)에서 많이 발생
- 토양전명
- 자마기에 물에 의해 전염 |
- 낮에는 시들고 밤에는 회복되는 증상이 2~3일반복
|
특별한 농약이 없고 접목재배
|
흰가루병(백분병) |
- 고온조건에서 과습과 건조가 반복되면 쉽게 발생
|
- 아랫부분부터 발병 시작하여 윗잎으로 확산
- 잎 전체표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아 보임 |
파아람, 시스텐, 푸르겐, 훼나리, 아푸간, 헥사코나졸
|
진딧물 |
- 년 10세대 발생 (온도 조건이 맞으면 수시발생) |
- 잎이 오그라듬
- 바이러스를 전염시켜 모자이크의 매개충이 됨 |
모스피란, 만장일치, 마샬입제, 코니도, 포수, 함성 |
응애 |
- 고온, 건조기에 많이 발생
|
- 잎 뒷면에 기생 흡즙하여 황화시킴
- 응애 1~2마리 발생시 약제 살포 |
가네마이트 보라매, 스타렉스
|
뿌리혹선충 |
- 미숙퇴비 사용시 다 발생
- 사질토양에서 많이 발생
- 연작재배시 많이 발생 |
- 낮에는 시들음 현상
- 잎이 누렇게 변색되고 피해 받은 뿌리에 혹선충이 생김
|
미랄입제, 선충탄입제,럭비입제
|
파밤나방 |
- 온도조건이 맞으면 수시발생
|
- 개화전 자방을 침해하여 낙화 유발
- 과피 표면을 갉아먹어 상품성 저하 시킴 |
미믹 수화제, 세배로, 스타렉스, 아타브론
|
마. CGMMV
1) |
전염원
○○ |
1차 : 오염종자, 발병토양, 오염자재 2차 : 발병식물
| |
2) |
전염경로
○○ |
종자 전염 : 수박 , 박 즙액 전염
- - - - |
관리작업(접목, 이식, 정식, 덩굴정리) 발병 주와 건전주의 접촉(비, 바람) 소주의 발병 주로부터 급속 확대 거의 모든 종자 전염성 바이러스 - 즙액전명 가능 | | |
|
○ |
토양전염
- - -
|
주원인 : 연작, 이병잔재물 발병토양에서 약 1년 활성 유지 잔근분해 촉진시 ; 2~3개월간 활성 유지 | | |
3) |
CGMMV의 성질
○○ |
크기 : 300×18nm(막대기형) 물리화학적 성질 - 내열성 : 90~95도/10분 -내보존성 : 0도~수년, 20도~수개월 | |
|
○○ |
기주범위 : 수박 , 박, 오이, 메론, 호박 병징 : 과육에 수침, 적변, 과피에 mosic 녹색 부정형 병반, 과경에 갈색 대형 괴저 병반, 잎에 퇴색, 모자익, 녹색부위 혹 | |
4) 진단방법 : 항체여과지법, 전자현미경, ELISA, 고비 중 라텍스, 지표식물검정
5) |
방제
○ ○ ○ ○ |
무병종자 채종 종자소독 : 가열처리 (70도 3일이상), 제3인산소다 (5% 10분간 침지) 이병 잔해물 제거 (소작) 10% 탈지 분유액, 비눗물, 3% 제3인 산소다액 세척 | |
바. |
어상천 수박 축제
○ |
목적
-
|
우리 고장의 자랑 농산물인 어상천 수박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널리 홍보하고, |
- |
대도시 소비자를 산지에 초청하여 만남의 광장을 마련함으로서 농도간 이해 증진과
|
- |
우리지역 농산물에 대한 신로 구축을 통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이바지하고자 함. |
· · · |
시기 : 매년 7월 말 장소 :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리 축제행사 : 수박 왕 선발, 수박 및 우리 관내에 관련된 ○×문제 맞추기, 수박씨 멀리 뱉기, 수박 빨리 먹기, 수박이고 달리기
|
단양군은 충청북도의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원도와 경상북도를 접하고 있고 남한강 상류의 물줄기가 흐르고 있다. 기후적 요인으로 인해 노지 재배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주재배 지역인 어상천면에서 농협과 농업인이 주축이 되어 해마다 주 수확시기인 7월말에 수박 축제를 행사를 개최하여 수박왕 선발대회 수박 먹기 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를 벌이고 있으며 품질 좋은 수박 생산에 노력하고 있다. 단양은 일찍이 남한강 유역을 삶의 터전으로 전기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살아온 선사문명의 발상지였으며, 도담삼봉을 비롯하여 전통문화와 수려한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천헤의 관광지로 21C 중앙고속도로 개통으로 관광 및 지역산업의 가속화 발전이 기대회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