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형식] | 영어

[3형식]
기본설명:
① 기본문형: 3형식의 기본 문형은
S(주어) + 동사(V) + 목적어(O)입니다. 3형식의 핵심적인 문법사항은 3형식을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3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완전 타동사입니다.
(우리말의 경우) 우리말의 경우 영어의 3형식 문장에 해당되는 문장들은 조사 "을/를"이 붙은 목적어를 수반하는 문장들은 대체로
3형식 문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 ①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② 그는 우리를 싫어합니다.
(해설) ① -- ②문장에서
목적어(당신을/우리를)를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반드시 목적어를 동반하는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부르며 문의 제 3형식을
구성하는 기본동사입니다.
* 완전타동사: 완전타동사란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주어 + 완전타동사"만으로는 문장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문장이
문의 제 3형식 구성을 하고 있으며 완전타동사가 온 다음 그 뒤에 목적어에 해당되는 명사가 오지 않는다면 그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예: I make coffee. (o) I make. (x)
-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하고 있지만, 타동사 기능만을 하는 동사들은 주의해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영어 공부가 어렵다는
것은 문법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동사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 이하는 주의를 요하는 타동사들이면서,
시험에 자주 출제 됨.
ⓐ attend (--에 참석하다)
He attended the meeting. (o)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reach (--에 도착하다)
She reached her school yesterday.
(o)
She reached to her school yesterday. (x)
ⓒ resemble (--를 닮다)
You
resemble your father. (o)
You resemble with your father. (x)
ⓓ survive
(--에서 살아남다)
They survived the plane crash. (o)
They survived in the plane
crash (x)
ⓔ discuss (--을 논의하다)
We discussed the project. (o)
We
discussed about the project. (x)
(해설) 대략 대표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5가지 정도의 예를 들었지만 더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동사들은 완전타동사로서 명사를 바로 직접적으로 목적어로 취하고 있습니다. 전치사는 필요치 않습 니다.
(전치사에 대한 설명은 차후 전치사편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목적어: 목적어는 동사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명사만이 올 수 있습니다. 명사는 단순히 한 단어가 명사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명사의 형태)
ⓐ 명사(원래 하나의 단어로 된 명사. 예: book, cake, horse 등)
ⓑ 동명사(동사를 재료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형태는 동사원형 + --ing. 예: watching, running, drinking 등)
ⓒ 부정사(명사적
용법: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동사를 명사로 만든 것. 예: to live, to study, to run 등)
ⓓ 명사절(주어,
동사를 갖춘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통째로 하나의 명사 기능을 하는 것. 예: That he stole the money was not
true)
ⓔ 명사구(하나의 문장 형식은 아니면서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명사기능을 하는 것. 예: Going to school
with you is really good)
(해설) 명사를 공부하면서 "추상명사" "가산명사" "불가산명사" 등은 사실 위의 ⓐ --
ⓔ에 해당되는 5가지 명사 형태에 대한 공부에 비교하면 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불가산 명사"를 "가산명사"로 사용했다고 해도 문장이
어색하지만 알아듣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의 5가지 명사 형태를 모르면 문장을 만들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나중에 명사편에서 상 세히 강의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목적어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다고 생각 하면 문의 제 3형식도 만만해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면 생각보다는 영문법은 상식적인 수준에서 움직입니다. 그리고 결국에는 자유자재로 작문과 회화가 가능해
집니다.
3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전형적인 3형식 문장들입니다. 잘 살펴보시고 어떻게 응용되는 지 도 한번 공부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나는 의자를 만듭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나는 의자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나는 내가 의자 만드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설명합니다)
(2) 위의 ① -- ④ 문장 모두가 전형적인 "주어 +
동사 + 목적어" 구조를 이루는 3형식 문장들입니다. 아래 설명을 참조하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① I make chairs.
-
주어는 "I", 타동사는 "make", 목적어는 "chairs"입니다.
- "make" 즉 "만들다"라는 동사의 목적이 바로 "의자"가
됩니다.
② I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I"가 되며 뒤에 오는 동사의 행동 주체(행동을 하는 사람)가
됩니다.
- 타동사는 "like"입니다. 뒤에 오는 목적어는 동사 "like"의 대상 혹은 목적이 됩니다.
- 목적어는 "to
make chairs"전체가 되며 곧 명사구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의자를 만드는 것" 정도입니다. 이때 "to make"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 됩니다. 즉 "to + 동사원형"의 형태를 이용해서 동사를 명사로 만드는 것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부정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③ I like making chairs.
- 주어는 "I"가 됩니다.
- 동사는 "like"가 됩니다.
- 목적어는
"making chairs"가 됩니다. 동사 like에 ing를 붙여 명사로 만든 즉 동명사로 만들어서 목적어로 삼았습니다. 결국 "making
chairs" 전체가 하나의 명사 즉 명사구가 되어 타동사 "like"의 목적어가 됩니다. (동명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동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④ I explain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 주어는 물론 explain 앞에 있는
"I"입니다.
- "explain"는 "설명하다"라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목적어는 "that I really like to
make chairs" 전체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내가 의자 만들기를 정말로 좋아한다는 것" 정도입니다. that 뒤에 오는 "I really
like to make chairs"는 완전한 문장입니다. 따라서 that이 하나의 완한 문장을 하나의 품사 즉 명사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즉
명사절이 됩니다. 명사절도 명사이기 때문에 전체가 타동사 "explain"의 목적어가 됩니다. (명사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명사편에서
하겠습니다)
(당부의 말씀) 문의 제 3형식에 대한 핵심은 타동사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두 번째 핵심은 목적어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문의 제 3형식 구조 자체는 쉽지만, 동사의 성질과 목적어 즉 명사의 성질과 구성을 이해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차후의 명사에 대한 설명을
명사편에서 꼼꼼히 읽어보시고 다시 여기로 돌아와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3형식 관계 문제
1. Do you know when our train _______ Tokyo?
a. goes b. arrives c.
gets d. reaches
(해설) 정답: d (우리 기차가 언제 도쿄에 도착하는 지 아니?)
문제의 핵심은 ___ 뒤에 목적어인 Tokyo가 바로 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____에 들어 갈 수 있는 동사의 형태는 타동사이거나 전치사를 대동한 자동사 정도입니다. (전치사에 대한 설명은 전치사편에서
자세히 하겠습니다)
- "goes"는 자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명사) Tokyo를 바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
- "arrives"는
자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를 바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 맞게 고치려면 "when our train arrives in Tokyo"
정도입니다.
- "gets"은 자동사 타동사로 다 쓰일 수 있는 동사지만, 타동사로 쓰일 땐 뜻이 "가지다, 얻다"가 되며, 자동사로 쓰일
때는 "--에 도착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경에 도착하다"라는 뜻이 되어야 하므로 "get"만을 사용한 것 은 잘못입니다.
맞게 고쳐 보면 "when our train gets to Tokyo" 정도입니다.
- "reaches"는 타동사이며 "--에
도착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타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도착장소를 언급하는 명사 즉 목적어를 바로 가지고 옵니다.
2. After our class, let's ____ our plan to study together for the mid-term
exams.
a. talk b. talk to c. discuss d. discuss about
(해설) 정답: c (수업 후에, 중간고사 시험을 위해 함께 공부하는 계획을 논의해 보자)
문제의 핵심은 본 문장에 동사가
없으므로 "___"속에는 반드시 동사가 들어가야 하 며, 들어갈 수 있는 동사의 형태는 뒤에 "our plan"이라는 목적어가 바로 오고 있으
므로 타동사이거나 전치사를 동반한 자동사 정도입니다. 이중에서 문장의 의미와 가장 조화를 이루는 것을 고르면 됩니다.
- "talk"는
자동사입니다. 따라서 성립되지 않습니다.
- "talk to"는 형태상으로는 가능하지만 뜻이 맞지 않습니다. "talk to"의 뜻은
"--에게 이야기하다"라는 뜻인데 "우리의 계획에게 이야기하다"라는 뜻은 성립되지 않으므로 맞지 않습니다.
- "discuss"는 "--을
논하다"라는 타동사이므로 뒤에 그에 합당한 목적어 "our plan"이 오고 있으므로 정답입니다.
- "discuss about"는
불가능한 매치입니다. "discuss" 자체가 타동사로만 사용되므로 뒤에 전치사가 올 수 없습니다.
3. My teacher already ⓐexplained about why we ⓑhad to ⓒstay in the classroom ⓓuntil five o'clock.
(해설) 정답: a (선생님께서 우리가 왜 5시까지 교실에 남아 있어야하는가를 이미 설명하셨다.)
문장이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
전체문장은 문의 제 3형식입니다. 주어는 "My teacher"이고 동사는 "explained", 목적어는 "why --- five
o'clock"입니다. "why --- five o'clock"은 명사절이 됩니다 (명사절은 명사편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임).
-
"explained"는 타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가 바로 옵니다. 따라서 "about"는 필요 없습니다.
- "had to"는 "--해야만
하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기능을 하고 있으며 시제도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
- "stay in"에서 stay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전치가가 이끄는 "in the class room"이라는 부사구가 오고 있어 문제가 없습니다.
- "until" 전치사로서
"--할 때까지"의 뜻입니다. until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오든 명사가 오든 상관없습니다. (until과 by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전치사
편에서 공부 하겠습니다.)
4. If you ⓐhave ⓑany problem, please ⓒcontact with me as soon as ⓓpossible.
(해설) 정답: c (만일 무슨 문제가 있으면, 가능한 빨리 제게 연락하세요)
"If -- problem"까지는 부사구입니다. 주절은
"please -- possible"입니다. 문법적 핵심은 동사 "contact"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 "contact"는
타동사입니다. 따라서 뒤에 목적어(명사)가 바로 와야 합니다. 전치 사 with가 온 것은 잘못입니다.
2 형 식
1. 기본설명:
제 2형식의 구조는 주어(S) + 동사(V) + 보어(C)의 형태를 가집니다.
- 2형식 문장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2형식 구조를 구성하는 동사의 성질과 보어를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1) 2형식 동사
- 2형식
동사의 기본은 be(am, are, is)동사입니다.
- be동사는 1형식의 자동사로도 2형식 동사(불완전 자동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Be 동사가 1형식 자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있다"라는 존재를 의미한다.
(예) He is in his room. (1형식: 그는 그의 방안에 있다)
o is는 "있다"라는 존재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o 따라서 문장구조를 형성하는 핵심문장은 "He is"(그는 있다)입니다.
o "in his room"은 전체가
부사구입니다.
* BE 동사가 2형식 동사로 사용될 때 : be동사의 뜻이 "--입니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예) She is beautiful.
(2형식: 그녀는 아름답다)
o is는 "--이다, --입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o "beautiful"은 주격보어로서 주어의 상태를 보충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o "beautiful"은 생략이 안 되는 2형식의 필수 요소입니다. 만일 생략하게 되면 "그녀는 입니다"라는 불완전한 문장이
될 뿐만 아니라 그녀가 아름답다는 내용을 전달할 수 없습니다.
(2) 2형식의 기본을 이루는 동사(be동사와 be동사군의 동사들)는 그 자체로 문장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사도 아니고,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타동사도 아닙니다. 따라서 2형식 동사들을 일부에서는 "불완전 자동사"라고도 부릅니다. 명칭이야 어떠하든 동사의 성질과 용도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3) 보어: 2형식 동사(be 동사)는 보어를 필요로 합니다. 이때 보어는 주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품사입니다.
① 2형식 문장의 보어는 주어의 상태를 보충설명해 주기 때문에 주격보어라 합니 다.
②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뿐입니다.
(예) ⓐ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입니다)
ⓑ I am smart. (나는 똑똑합니다)
(설명)
ⓐ 문장은 명사 "a student"를 가지고 주어 "I"의 정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의 경우 형용사 "smart"를 가지고 주어의
성질을 보충설명하고 있습니다.
2. 문의 제 2형식에 해당되는 우리말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번 작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①
나는 키가 큽니다.
② 그는 내 남자 친구입니다.
③ 그 여자는 아름답습니다.
④ 그들은 학생입니다.
⑤ 우리는
행복합니다.
(당부의 말씀) 굳이 작문을 권하는 것은 문법을 이용해서 실제 작문을 해 봄으로서 문법적인 지식이 실제 사용될 수 있는 완전한
실용적인 지식으로 점검되는 것 입니다. 작문을 두려워 말고 할 수 있는 만큼 해 보세요. 궁극적으로는 작문을 피해 갈 수 없습니다.
Be 동사군의 동사
문의 제2형식을 형성하는 기본동사는 Be동사입니다. 그러나 Be동사는 아니면서 문의 제2형식을 이루는 동사들이 있는데 이를
"Be동사군의 동사"라고합니다.
(주의) Be 동사군의 동사라고 해서 무조건 Be동사를 대신해서 쓸 수는 없습니다.
- Be 동사군의
동사는 형용사를 보어로 가져오는 Be 동사의 역할만 대신할 수 있습니다.
* Be 동사군의 동사
(1) 감각, 지각에 관계된
동사들: look, feel, smell, sound, taste 등
- (주의) 위의 동사들은 각 동사의 성질에 따라 자동사 혹은
타동사로도 사용되지만 be 동사군의 동사로도 쓰일 수 있음.
(예)
① The shoes look comfortable. (그 신발은 편안해 보입니다)
② I feel hungry. (나는
허기져요)
③ The bread smells good. (그 빵은 냄새가 좋아요)
④ Your story sounds weird.
(너의 이야기는 이상하다)
⑤ The soup tastes sweet. (그 수프는 맛이 달콤하다)
(주의) 문의 제 2형식을 형성하는 be 동사군의 동사 뒤에 오는 보어는 반드시 형용사라야만 합니다. 만일 부사가 오면 틀립니다. 예: The shoes look comfortably. ( x ) The soup tastes sweetly. ( x ) (설명) - 위의 다섯 문장들을 살펴보면 다섯 개의 be 동사군의 동사 대신에 be 동사를 대신 써도 문장은 성립한다. 즉, 이들 be 동사군의 동사들은 공통적으로 comfortable, hungry, good, weird, sweet 같은 형용사들을 보어로 가져온다.
(2) be (--입니다) 유사동사들: seem, remain, appear 등
- 이와 같은 동사들은 be 동사의 원래 뜻인
"--입니다"와 유사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동사들로 2형식을 구성할 때 보어로는 반드시 형용사가 와야 합니다. (주의: 이들
동사들은 2형식 동사뿐만 아니라 1형식을 위한 완전자 동사로도 이용될 수 있음)
(예)
① He seems angry. (그는 화가 난 것 같은데)
② She remained silent. (그녀는 조용히
있었다)
(3) become 동사군: become, grow, run, go, get 등
- become 동사군의 단어들은 "--가 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동사들은 2형식 동사로 쓰일 때만 형용사를 주격보어로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① He became happy. (그는 행복해 졌습니다)
② She grew tired. (그녀는 점차 피곤해 졌습니다)
③
The river runs dry. (그 강은 말라 갑니다)
④ He went mad. (그는 미쳐 갔습니다)
⑤ He gets
angry (그는 화가 났습니다)
(설명)become동사군의 2형식 동사들은 대체로 be 동사의 뜻인 "--입니다"의 의미에 "--가
되다"라는 진행적 의미가 첨가된 뜻을 가집니다.
* Be 동사 군의 동사를 2형식에 쓰는 이유: Be 동사군의 동사로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면 각자 원래의 의미를 가집니다. Be 동사만을
쓸 경우 단순히 "--입니다"라는 사실 자체만을 설명하는 단조로운 뜻을 가집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be 동사군의 동사를 사용하므로
해서 be 동사가 가진 "--입니다"의 뜻에 be 동사군의 동사가 가지는 진행적인 풍부한 뜻을 첨가하여 문장의 의미를 보다 생생하게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것입니다.
(당부의 말씀) be 동사군의 동사들을 귀찮게 여기지 마시기 바랍니다. be 동사만 있으면 되지 뭘 또 이런 이상한
동사들을 가지고 복잡하게 만든다고 생각지 마시고, 문장이 좀더 생생하고 풍부한 의미를 가지게 만들기 위한 것이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표현력과 문장이 훨씬 다양해지고 풍부해 질 것입니다. 예를 들어 "He was mad"라는 문장은 단순히 "그는 몹시 화가 났다"라고
하는 사실 자체만 언급하고 있지만, "He went mad"라는 문장은 "그는 점차 화가 났었다"라고 하는 점점 화가 나는 상황을 생생하게
설명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장들은 여러분을 괴롭히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애정과 이해를 가지고
공부하면 훨씬 쉬워집니다.
예문과 응용
(1) 부사와 함께: 1형식에서 이미 부사와 부사구에 대해 간략하나마 설명을 했습니다. 이제 이들 부사, 부사구를 섞어서 좀더
재미있는 2형식 문장을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합시다.
① 이 빵은 맛있습니다.
② 당신은 오늘 행복해 보입니다.
③ 오늘밤 날씨가 점점 추워집니다.
④ 우유가
상했습니다.
⑤ 나는 작년에 고등학생이었습니다.
(설명) ① -- ⑤까지 자연스럽게 문장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1형식과 2형식에서
제공한 앞의 설명을 다시 보아야 합니다. 참고로 위의 문장에 해당되는 영어문장을 적어 놓겠습니다. 살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의:
아래에 적힌 문장들이 유일한 정답은 아닙니다. 작문에는 하나의 정답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여러 가능한 문장들 중 하나입니다)
① This bread tastes delicious.
- delicious는 형용사입니다. 이 단어가 어려우면 good이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뜻이 통합니다. (This bread tastes good)
② You look happy today.
- happy는
형용사이고, today는 여기서 부사입니다. be동사군의 동사 look을 기억하세요.
③ It gets cold tonight.
-
날씨를 나타내는 비인칭주어 it을 사용했습니다. 물론 여기서 tonight는 부사로 사용되고 있지요. 나중에 형용사에서 비교급을 배우면 "It
is getting colder"라고도 작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진행적인 느낌이 더욱 생생이 살아나지요.
④ The milk
went stale.
- "stale"이란 형용사가 어려우면 "bad"라는 쉬운 형용사를 써보세요. 뜻은 여전히 비슷합니다. 이처럼 문장을
만든다는 것은 꼭 어려운 단어를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순발력이 필요하죠. 왜 "went"를 썼는지는 아시겠죠?
⑤ I was a
highschool student last year.
- 여기서 "last year"는 부사로 사용되었습니다. 보어는 명사
highschool student이며, 이것이 주어를 보충설명해 주는 보어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형식 관계 문제
1. He gets ______ about the math exam.
a. nervous b. nerve c.
nervously d. nervine
(해설) 정답: a (그는 수학시험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일단 "about the math exam"은 부사구여서 문장의 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 로 문장구조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He gets _____"입니다. 따라서 "____"안 에 적 당한 단어가 들어가서 "He gets ___"가 완전한 문장을 이룰 뿐만 아니라 의미 상 자연스러운 것이 정답입니다. - "gets"은 뒤에 목적어를 취하는 타동사로 쓰이거나, 뒤에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 는 be 동사군의 동사로 쓰입니다. 따라서 gets 뒤에 형용사나 명사가 오면 일단 품사적으로는 적합합니다. 그런 다음에 문장의 의미상 가장 적합한 단어를 고르는 것이 순서입니다. - "nervous"는 "불안한"이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품사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며, 또한 전체적인 문장 뜻을 이루는데 조화를 잘 이루고 있습니다. - "nerve"는 명사로서 "신경"이라는 뜻입니다. 품사적으로는 가능하나 문장 뜻을 자연스럽게 만들지 못하므로 안됩니다. (그는 수학시험에 대해 신경을 가졌다. --문장이 안됨) - "nervously" "불안하게"라는 뜻의 부사임. 따라서 문장을 이루지 못함. - "nervine" "신경을 진정시키는" 혹은 "신경안정제"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이자 명사임. 품사적으로는 문장을 이루지만 문장의 뜻이 안됨.
2. When I saw her, she remained ______ in the dark classroom.
a. silence
b. silently c. silentness d. silent
(해설) 정답: d (내가 그녀를 보았을 때, 그녀는 어두운 교실에 말없이 남아 있었다) "remain"은 자동사, 명사로도
사용되지만, 제 2형식 be 동사군의 동사로도 사용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문장의 경우, "When -- her"은 전체가 부사절이므로,
"she -- classroom"이 본 절이 됩니다. "remain"은 주어 "she"가 어떤 상태로 남아 있는 지를 말해 주는 문의 제 2형식
문장입니다. 따라서 remain 뒤에 오는 품사는 주어 "she"의 상태를 보충설명해주는 보어가 되는 형용사가 와야 하며, 뜻이 자 연스러워야
합니다. (이해가 안되면 앞의 ①번 문제와 설명을 다시 읽어보세요)
3. When I ⓐfailed in the ⓑentrance exam, I really felt ⓒbadly all day ⓓlong.
(해설) 정답: c (내가 입학 시험에 실패했을 때, 나는 온 종일 기분이 나빴었다) - "fail"은 "실패하다"라는 뜻을 가진
자동사, 타동사 둘 다 되는 동사입니다. 따라 서 ⓐ에서 "failed"는 자동사로 쓰였으므로 문제가 없습니다. - "entrance"는
"입장, 입학"이란 뜻의 명사이며, 뒤에 나오는 명사 exam과 합쳐져 서 "입학시험"이란 복합명사를 만들고 있으므로 문제가 없습니다. -
"felt"는 자동사와 타동사 둘 다 되는 동사입니다. 여기서는 felt가 be 동사군의 동사로 쓰였으므로 뒤에는 형용사를 주격보어로 가져와야
합니다. 그래서 badly가 아니라 "bad"가 되어야 옳습니다. - "all day long" 전체가 "하루 종일"이라는 뜻의 부사구입니다.
따라서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4. He looked ⓐterribly ⓑcoldness while he worked ⓒoutside ⓓwithout his overcoat on.
(해설) 정답: b (그가 외투도 입지 않고 밖에서 일하고 있는 동안, 그는 끔찍하게 추워 보였다) - 먼저 "while -- on"은
전체가 부사절이므로, 문장의 핵심은 "He -- coldness"입 니다. 동사 "looked"의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키가
됩니다. "look"은 완전자동사이면서, be 동사군의 동사로 형용사를 보어로 가져 올 수 있는 동사입니다. - "terribly"는 부사로서
뒤에 오는 형용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하므로 문장의 구조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습니다. - "coldness"는 be 동사군의
동사인 "look" 뒤에서 주어를 보충설명하는 보어의 기 능을 해야하므로 반드시 형용사 즉 "cold"가 되어야 합니다.
2 형 식
* 주요문법 사항 및 용어정리
문의 제 2형식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 보어: 보충설명해주는 품사
- 주격보어: 주어의 상태와 정체를 보충 설명해 주는 품사
(예) He is my
teacher. I am happy
(해설) "He is my teacher"에서 my teacher(명사)는 주어 He의 정체를 보충설명해주고 있으며, "I am happy"에서 형용사 "happy"는 주어 "I"의 상태를 보충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 어떤 품사가 보어가 될 수 있는가?
-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 뿐입니다.
ⓒ be 동사군의 동사란?
- be 동사는 아니지만 형용사만을 "보어"로 가지고 오면서 문의 제 2형식을 만드는 동사들을 말합니다.
ⓓ 왜 복잡하게 be 동사군의 동사를 사용하는가?
- be 동사만을 이용해서 문장을 만들 경우, 사실(fact)만을 언급합니다.
그러나 be 동사군의 동사를 쓰게 되면 각개의 be 동사군의 동사가 가진 풍부한 뜻이 "--입니다"라는 be동사의 뜻에 첨가 되어 문장의 표현이
훨씬 생생하게 됩니다.
- be 동사는 그 자체로 활용도가 너무 높아서 종종 남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한 문단 안에 너무
많은 be 동사가 있을 경우는 문장이 단조롭고 좋지 않게 보입니다. 이 때 be 동사군의 동사를 적절히 섞어쓰면 문장이 다양하고 보기가
좋습니다. (실제 영어로 글쓰기를 할 때 한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형 식
1. 영어의 제 1형식 구조는 "--는(가) --하다"의 문장으로 가장 간단한 구조입니다. 1형식 문장은 "주어 + 자동사"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때 자동사란 주어의 행동을 목적어 없이 그 자체로 표현해 주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자동사는 주어만 있으면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는 동사입니다.
2. 영어의 제 1형식 문장에 해당하는 우리말에서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나는 갑니다.
그는 잡니다.
그녀는
먹습니다.
그들은 앉습니다.
너는 공부합니다.
우리는 수영합니다.
3. 이와 같이 자동사는 주어 가 되는 "나, 너, 그,
그녀, 그들, 우리"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일부
동사들은 자동사로만 쓰입니다. 여기서 자동사로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고 문장을 만들어 봅시다.
a. go(가다)
b.
sleep(자다)
c. eat(자/타 먹다)
d. sit(앉다)
e. study(자/타 공부하다)
f. swim(수영하다)
4. 위의 자동사들을 "I"라는 주어를 가지고 영어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나는 간다. (I go)
나는 잔다. (I
sleep)
나는 먹는다. (I eat)
나는 앉는다. (I sit)
나는 공부한다. (I study)
나는 수영한다.
(I swim)
* 이제 주어를 You, He, She, We, They로 바꾸어 가면서 위의 문장들을 작문해 보세요.
1형식
예문과 응용
1. 아래 문장들은 1형식 문장들입니다. 문장을 잘 살펴보시고 1형식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요소인 "주어 + 자동사"를 파악하고 그
외 나머지 요소들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 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① I go.
② I go to school.
③ I go
to school by bicycle.
④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⑤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every day.
2. 위의 ①부터 ⑤까지의 문장 모두가 1형식
문장입니다. 특히 ⑤번 문장이 1형식 문장이라니 놀랍지 않습니까? 자 아래 설명을 들으면서 문장을 파악해 봅시다.
① I go.
-
주어 "I"와 자동사 "go"로만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갖춘 1형식.
- 자동사 "go"는 그 자체만 가지고 주어 "I"의 동작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다른 단어나 품사의 도움 없이 완전한 문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② I go to school.
- 주어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형태상으론 전치사를
재료로 했으므로 전치사구, 기능상으로는 부사의 기능을 하므로 부사구입니다.
- 부사는 "부차적인 품사"로서 문장의 구조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지 문장의 뜻을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하는데 도움만을 줄뿐입니다.
(설명) 우리말에서 "나는 학교에 갑니다"라는 문장에서
"학교에"는 부사입니다. 이때 학교에가 빠져도 "나는 갑니다"라는 문장이 완전한 형태로 형성됩니다. 단지 "학교에"라는 부사가 있어서 문장의
뜻이 구체적이 됩니다.
③ I go to school by bicycle.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설명) "나는 자전거로 학교에 갑니다"라는
우리말에서도 "자전거로"는 부사이며 "학교에"도 부사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부사는 문장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I go to
school by bicycle"의 문장 을 구성하는 핵심구조는 "I go"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I go to school by
bicycle"이라는 문장은 "주어+자동사+부사+부사"로 이루어진 1형식 문장입니다.
④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 "with
my friend"도 우리말의 "내 친구와 함께"에 해당되는 부사구입니다.
(설명) "나는 내 친구와 함께 자전거로 학교에 갑니다."라는
문장은 "주어+자동사"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1형식 문장에 3개의 부사구 즉 부사가 첨가되어 만들어진 여전히 1형식 문장입니다 (부사는 문장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주어(I)+자동사(go)+부사1(to school)+부사2(by bicycle)+부사3(with my
friend).
⑤ I go to school by bicycle with my friend every day.
- 주어는 "I"이고 자동사는
"go"입니다.
- "to school"은 기능상 부사구 즉 부사입니다.
- "by bicycle"도 역시 기능상
부사구입니다.
- "with my friend"도 우리말의 "내 친구와 함께"에 해당되는 부사구입니다.
- "every day"는
부사구입니다. 시간의 명사 앞에 "every, last, next, this, that 같은 단어가 붙게 되면 따로 전치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자체로 부사구가 됩니다. (참고: everyday는 형용사입니다).
설명) 주어(I)+자동사(go)+부사1(to
school)+부사2(by bicycle)+부사3(with my friend)+부사4(every day).
3. "유도부사"와 관련된
1형식 문장:
보통 "there is --," "there are --"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there"를 유도부사라고 합니다. 이때
"there"가 문두에 온다고 해서 주어로 오해하면 안됩니다. there는 부사입니다. 아래 문장을 참고해 보세요.
① There is
a computer (컴퓨터가 한 대 있습니다).
② There are computers (컴퓨터들이 있습니다).
- ①,②번 문장의
원래 형태는 "A computer is there" "Computers are there"가 맞습니다. 이때 be동사(is, are)는
"존재하다, 있다"의 뜻을 가진 자동사입니다. - "there"는 "거기"라는 위치를 언급하는 부사입니다.
- 따라서 위의 두 문장은
"거기 있다"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 문장을 도치시켜 문장 앞에 둔 것입니다. 이때 there를 뒤에 있는 "--이 있다"라는 문장을 유도하고
있다고 해서 유도부사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there는 여전히 부사일 따름 입니다.
- 아래 문장들은 유도 부사를 이용하고 있는 모두 1형식 문장들 입니다.
①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②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in my room.
③ There is a computer
on the desk in my room on the second floor.
(참고) 왜 1형식 문장이 되는 지 이해가 안되면, 앞의
설명들과 "주요 문법 사항 및 용어 정리" 부분을 꼼꼼히 다시 읽어보시길.
4. 수동의 의미가 있는 자동사:
- sell, wash 같은 동사들은 원래는 타동사입니다.
- 문의 3형식 파트에서 본격적으로
설명하겠지만, 타동사란 목적어를 반드시 동반하는 동사로서 "--을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 그러나 가끔씩 sell, wash이
자동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이때는 수동적 의미가 됩니다. 아래 예를 보세요.
① These computers sell well. (이 컴퓨터들은 잘 팔립니다): 1형식
② This shirt washes
well. (이 셔츠는 잘 세탁됩니다): 1형식
(참고) 위의 2 문장들은 자주 쓰이는 문장은 아닙니다. 그러나 가끔씩 문제로 출제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형식 관계 문제
1. Food prices _______ because of the bad harvest last year.
a. high
b. raise c. rise d. height
(해설) 정답: c (작년에 작황이 나빴기 때문에, 식품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
"because of"는 뒤에 명사(혹은 명사구)를
가져오며, 전체는 부사구가 된다. 따라 서 핵심문장은 "Food prices ______"까지이며, 결국 "____" 안에는 동사가와야 하며 그
자체로서 완전한 문장을 형성해야 하므로 자동사만 올 수 있다.
- high는 형용사이므로 정답이 아님.
- raise는 주로 타동사로
쓰이며 뜻은 "--을 올리다, 들어올리다"입니다. raise가 방언으로서 자동사로 간혹 사용되기는 하지만 실제는 거의 자동사로 쓰지
않음.
- rise는 자동사로서 "오르다"라는 뜻임.
- height는 명사로서 뜻은 "높이, 고도"임.
2. He seldom _____ to me while he was in the library.
a. discuss b. talked
c. speaks d. calls
(해설) 정답: b (그가 도서관에 있을 동안에, 그는 내게 거의 말을 하지 않습니다)
"while ---"는 "--하는
동안"의 뜻으로 모두 부사절이 됩니다. "seldom"은 "거의 -- 않다"라는 부정적 뜻을 가진 부사입니다. "to me"는 "나에게"라는
부사구입니 다. 결과적으로 문장의 모든 부사들을 제거하면 "He ___." 문장의 핵심구조가 되 어야 하므로 ___안에 들어가게 되는 단어는
일단은 자동사라야만 합니다.
- "discuss"는 "--을 논의하다"라는 뜻의 타동사입니다.
- "talked"는 자동사로서 "이야기하다"라는
뜻입니다.
- "speak"는 자동사이기는 하지만 시제가 현재이므로, 시제에서 맞지 않음. (종속절 while 절의 시제는 과거이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주절의 시제도 과거로 일치되어야 한다)
- "call"이 타동사로 쓰일 때는 "--에게 전화 걸다, --을
부르다"라는 뜻이 됩니다. 자동사일 때는 "--를 큰소리로 부르다"라는 뜻이 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calls는 시제가 현재이므로 시제일치에서
틀리고 있습니다.
3. ①When I ②approached the main gate, he ③was stood ④at the corner of the gate.
(해설) 정답: ③(내가 정문으로 다가갔을 때, 그는 정문 귀퉁이에 서 있었다) - "stand"는 자동사 타동사 모두 되는 동사이지만, 자동사와 타동사의 뜻이 다소 차이가 납니다. 자동사일 경우 stand는 "서다, 서있다"라는 뜻이 되고, 타동사일 경우는 "세우다"라는 뜻이 됩니다. 위의 문자에서는 he가 서있는 경우니까 "was stood" 대신에 "stood"가 와야 합니다.
4. ①Since the situation was very bad, we ②needed to ③discuss with every ④possible ⑤problems.
(해설) 정답: ③(상황이 아주 나빴기 때문에, 우리는 가능한 모든 문제들을 토론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 "discuss"는
타동사입니다. 따라서 목적어는 discuss뒤에 바로 와야 합니다. discuss(논의하다)의 목적어는 every possible
problems입니다. 결과적으로 "with"는 불필요합니다.
* 주요 문법 사항 및 용어 정리
ⓐ 구: 문장은 아니면서 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품사기능을 하는 것.
(예: 만일 어떤 구가 부사기능을 하면
부사구)
(ex) I live in Pusan. (나는 부산에 삽니다)
* 우리말에서와 마찬가지로 in 과 Pusan이 만나 합쳐져 "부산에"라는 부사기능을 하므로 "in Pusan"은 부사구가 됨.
ⓑ
절: "주어+동사"를 포함하는 하나의 완전한 문장형태를 이루면서 그 전체가 하 나의 품사 기능을 하는 것.
(예: 만일 어떤 절이
명사기능을 하면 명사절이라 함)
(ex 1) That I love you is not true.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 "I love you"는 완전한 문장이지만 전체문장에서 하나의 부분으로 주어기능을 합니다. 이때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이므로
"I love you"는 명사절입니다.
* 하나의 문장 앞에 "that"을 붙이게 되면 그 문장 전체가 명사 즉 명사절이 됩니다. (나중에
절과 구에 관해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겠음)
(ex 2) When I saw you, you were writing a
letter.
(내가 당신을 보았을 때, 당신은 편지를 쓰고 있었습니다)
* "when"은 접속부사로서 "I saw you"라는 절을 이끌고 있습니다. 따라서 "When I saw you" 전체는 부사절이
됩니다. 우리말로 했을 때도 "내가 당신을 보았을 때"는 부사절입니다.
* "내가 당신을 보았을 때"라는 부사절은 "당신은 편지를 쓰고
있었습니다"라는 문장의 배경이나 조건이 됩니다. 따라서 "When I saw you"는 문장의 주된 의미가 아닌 조건이 된다고 해서
"종속절"이라고도 하며, "you were writing a letter"는 문장의 주가 되는 의미부분이라고 해서 "주절"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