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4.참께 생력재배기술-(2)
) 과립종자 이용 재배방법
1) 점파기를 이용한 파종
가) 출현 양상
발아 및 입모상황은 인력점파 및 점파식 파종기에서 과립종자 파종은 일반종자 파종에 비해 1~2일 출현이 늦었으며 입모수도 점파기 파종시 ㎥당 1본정도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혈당 출현수는 일반종자로 손파종할 때 15.6개인 반면 점파기는 혈당 6.2개정도로 1~2회 솎음 작업이 필요하였고, 점파기를 이용 과립종자를 파종시 혈당 출현수는 1.5~1.6 개로서 솎음작업을 실시치 않아도 되었다.
나) 파종 및 솎음 생력효과
참깨종자는 소립이기 때문에 손파종시 10~20립이 파종되고, 기존 점파기로 파종하면 5~7립씩 파종되므로 1주 1본으로 유지하여 참깨의 생육이 유리하기 위하여 솎음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파종 및 솎음작업이 일반종자에서는 34.8시간/10a 소요되었으나, 과립종자는 손 파종시 4.4시간/10a 소요되었고 점파기를 이용하면 파종 및 솎음노력 소요시간이 0.9시간/10a 소요되어 97%생력화 할 수 있었고 소요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
다) 생육 및 수량특성
경장은 일반종자에 비하여 과립종자에서 컸고, 이는 솎음 작업시 뿌리의 단근 및 묘의 손상이 적은 원인으로 보여지고 이런 영향을 착삭부위장이 길고, 주당삭수, 삭당입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운 경향으로 나타나 수량이 1~4%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2) 트렉터이용 파종 일관작업
가) 작업방법 및 생력효과
파종방법에 따른 생력 정도는 관행재배인 일반종자 인력파종의 두둑형성, 비닐피복, 파송솎음작업에 소요된 ㏊당 328시간에 비하여 과립종자 점파기파종과, 과립종자파종 일관작업에서 73%~95%의 노력절감효과를 보였다. 그중 비닐피복기의 이용은 관행 두둑형성 및 비닐멀칭에 의한 노력시간 142시간에 비하여 약 98% 생력효과를 보였다. 파종은 일반종자 인력파종 123시간에
비하여 과립종자 점파기파종은 24시간으로 약 80% 절감되었다.
나) 출현양상
파종방법에 따라 종자가 파종되지 않는 파종율은 과립종자이용 기계파종시에 나타났는데, 이는 불균일한 경운작업으로 인해 피복된 비닐이 지면과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서 파종기가 비닐을 완전히 뚫지 못하고 과립종자가 피복된 비닐위로 떨어져 고랑으로 흩어버려 발생되는 것으로 점파기 파종은 6.3~7.0%, 과립종자 파종일관작업은 5.1~5.2%였다. 결주율은 일반종자 인력파종은 5.7%로 가장 낮았으나, 과립종자점파기 파종은 7.9%, 과립종자 일관작업은 7.5%로 일반종자에 비해 과립종자 파종시 결주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출현율은 일반종자 인력파종 94%에 비하여 과립종자 점파기 파종은 약 85%, 과립종자 일관작업에서는 87%로 나타나서 관행에 비해 출현율은 다소 낮았다.
파종방법에 따른 출현양상, 개화일수 및 성숙일수는 혈당 출현수는 일반종자 인력파종은 약 21.8개체인데 비하여 과립종자 파종시에는 1.7~2.0개체가 출현되어 솎음노력이 크게 절감되었다. 파종 후 출현일수는 일반종자 인력파종은 5일인데 비하여 점파기 과립종자 파종시 약간 지연되었으며, 과립종자파종 일관작업은 2일 지연되어 가장 늦게 출현되었다. 이는 과립종자의 증량제가 수분을 흡수하려는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개화에는 35일, 성숙일수는 92~93일로 파종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 생육 및 수량특성
경장은 일반종자 인력파종에 비하여 과립종자 파종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삭고는 관행 파종 47㎝에 비해 과립종자 파종 1회솎음에서 36~43㎝로 4~11㎝ 낮았고, 착삭부위장은 일반종자 인력파종의 66㎝에 비해 과립종자 파종 일관작업에서는 76㎝로 길었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 입모수는 일반종자 인력 파종에 비하여 과립종자 파종시 입모수가 감소되었으나 주당 삭수는 증가되었다. 따라서 수량은 일반종자 인력파종 632㎏/㏊에 비하여 ㎡당 입모수가 과립종자 파종에서는 적었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라) 경제적 효과
이러한 결과를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당 종실소득은 관행 7,097천원이나 일관작업시 6,525~7,086천원으로 비슷하지만 노력비는 관행 1,206천원에 비해 일관작업시 215~49천원으로 소득은 일관작업시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뿐 아니라, 다른 작물과의 노동력 경합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출처 : 농진청 호남농업시험장 '주요 밭작물의 생력 재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