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 재배 기술

[스크랩] 7.참께 생산현황과 전망

여주&토야 2006. 9. 19. 21:45

□ 국내 생산량

참깨는 1987년의 9만4천㏊를 정점으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계속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1994년 4만1천㏊를 최저점으로 하여 재배면적은 다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94년부터 '97년까지는 양호한 기상환경으로 전국 평균 단수가 10a당 65㎏을 상회하였으나 '98년에는 재배면적이 5만3천㏊로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참깨 등숙기간동안의 지속적인 강우와 흐린 날씨로 인하여 전국평균 단수는 52㎏에 불과하여 전년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상조건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좌우되고 연작피해 및 병충해 또한 심하여 재배관리상 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단보당 소득이 더 높은 고추, 수박 등의 고소득 작목으로 재배가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국내 참깨 생산량 추이('87~'98)

구   분

'87

'94

'95

'96

'97

'98

 재배면적(천㏊)
 단수(㎏/10a)
 생산량(천톤)

94.3
45.9
43.3

40.8
68.4
27.9

52.3
61.0
31.9

42.4
69.3
29.4

48.8
68.4
33.4

52.8
52.5
27.7

     ※ '98 특용작물 생산실적(농림부)

 □ 수급전망

1990년 이후 연간 참깨 소비량은 계속 증가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공급물량 부족으로 수입량이 급증하고 있는데, 특히 품질이 불량하고 값싼 중국산 참깨의 수입량 증가로 인해 국내 참깨 자급율은 매년 낮아져 '90년에는 83%이었던 것이 '96년에는 34%까지 떨어졌다.

 참깨의 용도별 소비형태는 대부분 참기름 가공용과 양념용(통참깨, 깨소금)이며 이밖에 제과, 깨죽, 깨강정, 깨엿 등으로 소비되는데 참기름 가공업체 등 대량수요처에서는 가격면에서 상대적으로 저가인 수입참깨와 저품위의 국산 참깨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대형 수퍼마켓이나 백화점이의 일부 농산물 유통업소에서는 국산참깨의 판매를 지속적으로 늘여가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국산 참깨와 수입참깨의 가격차가 매우 크고 수입참깨(또는 혼합참깨)와 국산참깨의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국산참깨 수요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양곡소매상 등의 국산참깨 거래도 매우 부진한 실정이므로 국내 소비자들이 수입산과 국산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원산지 표시제도의 활성화 등을 통한 수입농산물의 무분별한 국내유입 방지와 유통의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는 건강 및 기호식품의 선호도 증가와 더불어 국내 참깨 수요량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재배면적의 감소추세로 국내생산량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반면에 수입량은 증가되어 국내 자급율은 20%이하로 낮아질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연구지도 분야에서는 참깨의 기계화적응 신품종 육성과 기계화일관 재배기술의 확대보급등 국내 생산기반 유지를 위한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정책적인 차원에서는 한정된 농경지의 효율적 활용과 국산 참깨의 자급율 향상 및 재배농가의 소득보장 그리고 나아가서는 고품질의 국산참깨 소비를 통한 국민보건 향상을 위해 계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국내 참깨 소비형태

 

구   분

가정용

착유용

기타(제과 등)

국내산(%)
수입산(%)

100
100

30
10

70
80

-
10

  자료 : '96농수산물유통공사, 「수입농산물 및 가공식품 유통실태」

 

 

 * 출처 : 농진청 '표준영농교본 - 18'

 
출처 : 행복합니다
글쓴이 : 행복 전도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