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 가꾸기
[스크랩] 시설원예 -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여주&토야
2007. 2. 19. 20:03

최근 생산자와 소비자, 심지어는 기관이나 학계, 정책입안자들 까지 모두 [환경농업]에만 관심이 쏠려있다고 착각할 정도이다. 환경농업은 시설원예의 대칭되는 개념이 아니며 오히려 상호 보완하고 퓨전(fusion)되어야 할 형태이다.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는 시설원예에 있다.
농산물 구매가 점점 까다로워지며 고품질만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성향, 세계 농산물 수출입무역장벽의 파괴, 거대해지는 상위 소비계층의 중국시장 등의 국내외 상황을 위기로 볼 것이냐, 아니면 새로운 기회로 볼 것이냐 라는 비관론자와 낙관론자의 갈림길.
그 갈림길에 우리 시설원예의 생사가 우두커니 놓여 있다.
세계시장이 하나가 되어 모든 산업에서 국제경쟁력이 필요한 21세기. 과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21세기에 집중 육성해야 할 80여개 기술을 선별하여 발표했다. 80여개의 기술목록 중에 농업과 관련된 기술이 4개 있었다.
* 유전공학을 이용한 육종기술, * 천적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기술,
* 수경재배기술, * 식물공장기술이 그 것이었다. 4개 농업관련 기술 중에
시설원예 관련기술이 3개나 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보듯이 21세기 대한민국농업은 [시설원예]를 빼 놓고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90년대 중반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 비약적인 질적(質的).양적(量的) 성장을 거듭했던 시설원예가 현재는 침체기 혹은 조정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환경농업과 함께 균형 발전해야 할 시설원예
----------------------------------------
최근 들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심지어는 기관이나 학계, 정책입안자들 까지 모두 [환경농업]에만 관심이 쏠려있다고 착각할 정도이다.
물론 환경농업이 시설원예의 대칭되는 개념이 아니며 오히려 상호 보완하고 퓨전(fusion)되어야 할 형태이다.
소비자는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원하고 생산자는 고소득.고수익.고부가가치를 원한다. 따라서 친환경농업이 접목된 시설원예는 이제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우리나라의 시설작물 재매면적은 52,000ha(2002년 기준)로 경종작물 전체 재배면적의 5% 수준이다. 이중 시설채소 면적은 시설작물 면적의 86% 수준이다.
한편 시설원예는 전체 경지면적에서 5%에 불과하지만 생산액이 약 15%에 달해 전체 작물의 평균적인 토지생산성보다 3배 높다. 시설채소만 볼 때 전체 채소면적의 약 23.5%이나 생산액은 채소 전체의 43%가 되어 채소평균 토지생산성보다 1.8배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시설원예는 지난 30년간 급속히 성장하여 현재는 규모면에서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의 시설원예국가로 도약하였다. 이러한 비약적인 발전으로 전 국민이 채소나 화훼 심지어 과수까지 원예농산물을 연중 안정적으로 소비할 수 있게 되었고 신선농산물 수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제한된 공간이나 시설에서 광, 온도, 수분, 공기 등 제반 환경을 인위적으로 관리하여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시설원예의 특징이다. 90년대 중반 정부의 지원사업으로 정점에 달했던 시설원예가 이제 다시 재도약하며 한국 농업발전의 대안으로 다시 부상되고 있다.
소비자는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원하고 생산자는 고소득.고수익.고부가가치를 원한다. 따라서 친환경농업이 접목된 시설원예는 이제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우리나라의 시설작물 재매면적은 52,000ha(2002년 기준)로 경종작물 전체 재배면적의 5% 수준이다. 이중 시설채소 면적은 시설작물 면적의 86% 수준이다.
한편 시설원예는 전체 경지면적에서 5%에 불과하지만 생산액이 약 15%에 달해 전체 작물의 평균적인 토지생산성보다 3배 높다. 시설채소만 볼 때 전체 채소면적의 약 23.5%이나 생산액은 채소 전체의 43%가 되어 채소평균 토지생산성보다 1.8배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시설원예는 지난 30년간 급속히 성장하여 현재는 규모면에서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의 시설원예국가로 도약하였다. 이러한 비약적인 발전으로 전 국민이 채소나 화훼 심지어 과수까지 원예농산물을 연중 안정적으로 소비할 수 있게 되었고 신선농산물 수출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제한된 공간이나 시설에서 광, 온도, 수분, 공기 등 제반 환경을 인위적으로 관리하여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시설원예의 특징이다. 90년대 중반 정부의 지원사업으로 정점에 달했던 시설원예가 이제 다시 재도약하며 한국 농업발전의 대안으로 다시 부상되고 있다.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