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원수가 커지면 태양광선(양기)을 받아들이기가 어렵게 되어
집이 음이 되고,통풍도 나쁘게 되기 때문에 꺼린다.
따라서 정원수는 높이가 3미터 이하로 건물에서 15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 나무가 침실가까이 있는 것은 좋지 않다.
나무는 산소를 배출해 신선한 공기를 인간에게 공급하고 있지만
밤에는 반대로 인간에게 해로운 탄산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 아카시아와 소나무는 상극이라 한다.
때문에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에 아카시아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향나무 곁에 있는 배나무는 오래 견디지 못한다.
향나무에서 성장한 해충이 배나무에 옮아가면 보다
강력한 해충이 되기 때문이다.
* 모과나무는 정원수로 심지 않는다.
모과나무는 유난히 수분이 많이 필요로 한다.
때문에 우물가에서 잘 자라고, 나뭇가지 끝가지 물기를 가지고 있어
벼락을 끌어들일 수 있다고 한다.
* 홍만선의 ‘산림경제’에서는 큰나무를 금기로 여기고 있다
* 가상에서 뜰 안에 큰 나무가 서북방에 자리한 경우 목정(木精) 있다고 생각하여
그 집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베어내서는 안 된다고 한다.
그래서 함부로 베면 주인에게 변괴가 생긴다고 생각한다.
이는 기상조건상 하지에 해가 북서쪽으로 기울면
서향집은 더위에 힘이 들고 겨울에는 북서풍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 나무가 인간이 흡수해야할 지기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집안에 큰 나무를 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일본인의 나무에 대한 생각
라일락, 장미 등 방향성(芳香性) 화초목은 어느 방위든 좋다고 보고 있으며
향나무는 담장을 따라 심는 것이 길하다고 한다.
* 파초, 소철 따위의 음성(陰性)식물은 한두 개 있는 것은 무방하나
많으면 흉하다고 한다.
* 우물가에 오동나무가 있는 것은 흉하지만 구기자나무는 길하다고 한다.
'조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은행나무의 암수 구별법 (0) | 2008.02.02 |
---|---|
[스크랩] 은행잎 생즙 병해충방제 ‘효과’ (0) | 2008.02.02 |
[스크랩] 죽어가는 소나무들 살려주세요 / 소나무 재선충 (0) | 2007.02.20 |
한국수목도감 유실수 (0) | 2007.02.14 |
[스크랩] 나무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나무의 재배법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작물재배 (0) | 2006.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