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난의 분류 및 난의 역사 | 한국 춘란 공부 난의 분류 및 난의 역사 식물학상의 위치 식물계는 크게 포자(胞子)에 의해 번식하는 포자식물(胞子植物)과 생식기관인 꽃을 갖고 열매를 맺으며 씨로 번식하는 종자식물(種子植物)로 나뉜다. 녹색식물은 고사리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종자식물에 속하는데 종자식물을 다시 소나무 잦나무등 침렵수류..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춘란의 분류 | 한국 춘란 공부 춘란의 분류 (1) 엽예품 ◆ 복륜반 ◆ 호반 ◆ 호피반 ◆ 사피반 ◆ 단엽종 (2) 화예품 ◆ 소심 ◆ 홍화 ◆ 주금화 ◆ 황화 ◆ 도화 ◆ 산반화 ◆ 기화 ◆ 자화 ◆ 복색화 ◆ 원판화 ◆ 색설화 ◆ 백화 ◆수채화 ◆ 투구화 모든 식물은 꽃을 피운다. 꽃은 가지각색의 색으로써 그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그러..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한국춘란의 형태 | 한국 춘란 공부 해오름http://blog.daum.net/seu2020/6652804 <난몰에서 펌> 출처 : 하오난 | 글쓴이 : 사래실 원글보기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환경만들기 | 한국 춘란 공부 환경 만들기 ▼ 어떤 장소에서 가꾸면 좋은가? ▼ 온실이 없어도 가꿀 수 있다. ▼ 난 진열대 만드는 법 ▼ 온실을 만들 때는 ▼ 사계절의 생육과 손질 동양란을 제대로 잘 가꿀 수 있느냐 없느냐의 해결점은 '환경 만들기' 이다. 환경만 난의 생육에 적합하면 큰 실패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 어떤 장..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난의 용어 | 한국 춘란 공부 난의용어 꽃 잎 벌브 뿌리 화형 화색 소심 봉심 기화 발색 설점 설판 복륜 사피 산반 서반 엽육 엽좌 엽형 호반 호피 기타용어 꽃 주판 (主瓣) 꽃의 외삼판(外三瓣)중 위쪽에 붙은 꽃잎이며 천판(天瓣) 상악판 위꽃잎이라고 한다. 부판 (副瓣) 동양란의 외삼판(外三瓣)중 양옆에 붙은 꽃잎, 야생란에서는 ..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난이 십이익 | 한국 춘란 공부 난이십이익 (蘭易十二翼) 1, 희일이외서 ( 喜日而畏暑 ) 햇빛이 잘 드는 것을 좋아하나 지나치어 너무 덥게 되면 좋지 않다. 2, 희풍이외한 ( 喜風而畏寒 ) 잔잔한 공기의 움직임은 좋아하나 차가운 냉기가 도는 바람은 싫어한다. 3, 희우이외료 ( 喜雨而畏療 ) 촉촉히 내리는 비는 좋아하나 강하게 내리는 ..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여름 철 난 기르기 | 한국 춘란 공부 여름철 난 기르기 갑자기 찾아 드는 고온대비 지구의 생태변화는 일찍부터 시작 되었다.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세계의 기상학자 전문가들을 제외한 일반인들은 뚜렷한 변화모습을 잘 느낄 수 없었으나 이제는 급 변화 하고 있는 기후가 피부에 와 닿고 있으며 특히 애란인들 에게도 민감하게 받아들여 ..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춘란의 상식 | 한국 춘란 공부 춘란의 상식 1. 건강한 난을 고르려면 2. 꽃망울을 벗기지 않고 산채를 하려면? 3. 동해를 입은 난의 치료는? 4. 라벨의 필요성 5. 수입란의 구입방법은? 6. 쌍두화의 원예적 가치는? 7. 애란인의 난실방문 8. 난과 광선의 관계는 9. 난과 물과의 관계는? 10. 난과 식물의 휴면장애 현상 11. 난은 음성식물인가? ..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물주기 | 한국 춘란 공부 물주기 좋은 물 선택 수돗물을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가장 무난하고 별 문제가 없으나 하루 정도 받아 놓아 소독약(염소성분)을 제거하고 사용하는 게 더욱 좋다. 또한, 수돗물에 어느 정도 난에 유익한 미네랄이 들어 있어 비료를 주지 않더라도 몇 년간 난을 키우는데 큰 지장은 없다. 근래에는 각종 ..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
[스크랩] 월별 춘란 관리 | 한국 춘란 공부 월별 춘란 관리 1월의 춘란 관리 한 해의 난 농사는 1월부터 시작된다. 다른 때보다 더 신경 써야 한다. 이 시기에 난은 겨울잠을 자기 때문에 영상 5도~8도를 유지하되 일기예보에 귀를 기울여 불시에 닥치는 혹한에 대처해야 한다. 낮 시간 밀폐된 난 실에 햇빛이 들면 온도가 30도 가까이까지 올라 난.. 한국 춘란 공부 2006.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