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숙조건에 따른 양질미 생산기술 등숙조건에 따른 양질미 생산기술 1. 등숙온도에 따른 미질특성 예로부터 밥맛은 흉작의 해보다 풍작의 해에 생산된 쌀이 좋다고 일반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는 밥맛에 기상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특히 등숙온도 조건이 미질특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예상케 한다. 등숙초기에.. 벼작물 2007.11.15
벼 직파재배 기술.3 무논 골뿌림재배는 먼저 작조 골이 알맞는 넓이와 깊이로 만들어져야 입모가 양호하고 도복도 경감된다. 작조 골이 너무 깊으면 줄기 매몰심이 도복 경감 효과는 향상되나 파종 직후 골이 무너져 입모율이 떨어지고, 작조 골이 너무 얕으면 입모율은 높아지나 줄기매몰심이 얕아서 도복의 위험성이 .. 벼작물 2007.11.15
[스크랩] 영성농법 영성농법 △ 7일 오후 전북 완주군 주천면 무릉리에서 이규홍 이은경씨 부부가 곧 추수할 논을 둘러보며 벼와 마지막 인사를 하고 있다. 완주 무릉리 이씨부부 첫 벼농사 5000평 지난 7일 오후 전북 진안군 주천면 무릉리. 길가 아래쪽 다락논에서 이규홍(38) 이은경(34)씨 부부가 벼를 베느라 구슬땀을 흘.. 벼작물 2007.02.19
[스크랩] 종이 멀칭 모내기로 잡초방제 " `종이 멀칭' 모내기로 잡초방제" 도 농기원, 신기술 쌀 생산법 보급 잡초약 사용않는 친환경 농법 각광 “종이멀칭 기계모내기로 잡초를 방제한다.” 전남도농업기술원이 잡초약을 사용하지 않고 잡초를 방제하며 친환경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신 기술을 개발, 보급한다. 18일 전남도농기원에 따르면.. 벼작물 2007.02.19
환경농업 / 벼유기재배 | 벼 환경농업 / 벼유기재배 관리자(2006-03-06 18:00:38, Hit : 316, Vote : 0) --> http://www.digitalagro.com 관련기관 등록자 관리자 --> 우리나라의 벼 집단재배지에서는 농업인들의 볍씨를 일괄적으로 약제로 소독하여 분배하는 곳이 많다. 그러나 완전소독이 안되어 입고병이나 키다리병 등에 걸리는 일이 허다하다. 그.. 벼작물 2006.09.17
냉해 깊은 물로 대비 냉해에 대비한 몇일 동안의 깊은 물로 대비 現代農業 2002 8 122p 금년은 봄부터 더웠다. 「이번은 여름이 위험한데---」 항간에서는 추운 여름을 예상하는 것 같다. 기상청 예보는 어디까지나「평년과 비슷」하다고 하지만 여기에서는「혹시나」를 대비하여 물 관리 등에 주의하면 좋을 것이다. 깊은 물.. 벼작물 2006.09.08
알거름으로 밥맛이 좋은 쌀 800kg를 알거름으로 밥맛이 좋은 쌀 800kg를 수확을 실현하는 조건 現代農業 2002 8 114p 薄井 勝利 규산 인산 고토를 같이 주어 출수까지의 생육과정을 중요시 알 거름으로는 화학비료인 질소가 불가피하다 「알 거름」이라고 하면 출수이후의 웃거름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지만 내 경우 끝 입이 전개한 직후 .. 벼작물 2006.09.08
벼 재배 마무리로 알거름에 대해 벼 재배 마무리로 알거름에 대해 酵素의 世界 2002 8 10 4p 島本 邦彦 옛날의 벼농사 비료는 밑거름이 중심으로 웃거름은 거의 주지 않았다. 그것이 무기질비료의 출현으로 밑거름을 많이 주는 것이 폐해가 되는 것을 알고 점점 웃거름주의로 바뀌었다. 특히 미생물농법에서는 밑거름을 질소비료는 가능.. 벼작물 2006.09.08
벼에 붙는 벌레 방제법 벼에 붙는 벌레 자연의 이치로 퇴치 가을에 기온이 내려가면 멸구도 기운이 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중만생종을 재배할 때에는 벼와 벌레를 생각하고 재배해야 된다. 또 거미는 멸구의 천적이다. 농약을 많이 뿌리지 않으면 거미도 살아남는다. 피로 멸구 발생상황을 구별한다 가을이 깊어지면 멸구.. 벼작물 2006.09.08
쌀겨 건토비료+인분뇨발효액비로 쌀과 가지를 증수하다 쌀겨 건토비료+인분뇨발효액비로 쌀과 가지를 증수하다 現代農業 2002 10 118p 中越 敬一 땅심기르기라는 상식이 의심스럽다 나는 대대로 내려온 농민은 아니다. 농민이 되기 전에는 東京都內의 컴퓨-터메이커-에서 PC 일을 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무잇인지는 모르나 지금까지의 땅심기르는 스타일에 의.. 벼작물 2006.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