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명나방
나비목[鱗翅目] 명나방과의 곤충.
♣ 학 명 : Cnaphalocrocis medinalis
♣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 크 기 : 날개길이 약 18mm
날개길이 약 18mm이다. 머리는 황백색이고 몸은 담황갈색이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황색이고 앞가두리는 갈색 비늘가루로 덮여 있고 앞가두리 중간에 암갈색의 털융기가 있다. 앞날개의 바깥가두리는 담갈색이다.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해외로부터 한국에 날아오는 비래해충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에 따라 발생과 피해의 차이가 크다. 연간 발생횟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2∼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월동상태는 확실하지 않다. 성충은 낮에는 벼잎이나 잡초 사이에서 배끝을 들고 정지해 있으며, 해질 무렵부터 교미 또는 산란활동을 하며 주광성이 강하다. 알은 납작한 타원형이고 벼잎에 1∼2개씩 낳으며 산란기간은 5∼7일, 유충기간은 약 20일, 번데기 기간은 8∼15일, 나방의 수명은 9∼20일이다.
유충은 황록색이나 자라면서 점차 붉은색을 띤다. 벼잎을 1개씩 세로로 말고 몇 군데를 철한 다음, 그 속에서 가해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2∼3개의 잎을 철하고 가해하는 일도 있다. 피해 잎은 뒷면의 표피만 남으며, 잎이 말라죽으면 계속 다른 잎으로 옮겨가서 가해한다. 많이 발생하면 논 전체가 녹색을 잃게 되고, 출수와 등숙이 불량해진다. 벼잎말이명나방과 형태적으로 비슷하나 이 종은 말린 잎의 위아래를 막지 않으며 손을 대면 유충이 재빠르게 땅으로 떨어지는 습성이 있다. 유충은 벼 ·밀 ·보리 등의 잎을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등지에 분포한다. [텍스트출처: 네이버]
¤¤¤¤¤¤¤¤---------¤¤¤¤¤¤¤¤
올해에는 벼멸구, 흰등멸구와 더불어 혹명나방 피해가 많다고 합니다.
기상조건, 비래량 이라던지... 항상 살피시는것이 방제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가까운 지도소나 진흥청 싸이트에서 예보를 내고 있으니 참조 하세요...
제가 생각할적에는 방치된 농토 또는 친환경 재배지가 늘어남에 따라서 좀더 넓은 면적으로 확산 조짐이 보입니다.
미리미리 서둘러 2화기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할것 같습니다..
'친환경 농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펌)한약재로 유기농살충제를 만들자 ! (0) | 2010.02.19 |
---|---|
영남대 생명공학연구소 50L Pilot System 발효시스템 (0) | 2007.11.19 |
살충균이란? (0) | 2007.11.19 |
[펌] 시설재배 작물별 천적이용 모델 (0) | 2007.11.19 |
[펌] 천적유지보존식물 제대로 쓰자 ! (0) | 2007.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