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단강, 갈릴리 호수, 사해바다 요단강은 발원지인 헤르몬산으로부터 사해까지의 직선거리가 대략 130㎞이며, 갈릴리 호수에서 사해까지는 약 96㎞이다. 그러나 강의 전체 길이는 하류의 굴곡 때문에 무려 320㎞가 넘는다. 갈릴리 호수에서 사해까지의 강의 폭은 약 30m, 깊이는 1-3m 정도이다. 초봄에 비가 많이 내리면 강의 폭은 더 넓어지지만, 강 어느 곳에서도 배가 다닐 수 없다. 강폭이 좁고 수심이 낮다보니까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여울목이 60여 곳이나 된다. 성서시대에는 요단강에 배도 없고 다리도 없었기 때문에 이들 여울목들이 전략상 중요한 위치가 되었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
요단강은 지중해보다 낮은 곳에서 흐르고 있고 낙차도 심해서 흐름이 급하다. 요단강은 해면보다 약 210m 정도 낮은 갈릴리 호수에서 해면보다 약 398m나 낮은 사해로 흐르기 때문에 갈릴리 호수에서 사해까지의 낙차가 무려 188m나 되며, 1㎞당 평균 낙차도 약 2m나 된다.
갈릴리 호수는 북쪽 헤르몬 산에서 발원하여 흘러 들어오는 물을 받아 넓은 호수를 이루고 있으면서 넘치는 물을 요단강을 통해서 사해로 흘러 보낸다. 현재 이스라엘은 갈릴리 호수의 물을 퍼 올려 다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을 만큼 아주 중요한 수자원이다.
|
사해도 한 때는 죽음의 호수로 알려져 있었지만, 지금은 중요한 자원의 보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염해' 또는 '롯의 바다'로 불렸던 사해는 큰 호수로써 지중해보다 무려 398m나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한번 유입된 물은 빠져나가지 못하는 곳이며, 유입되는 물이 매일 7백만 톤에 이르지만, 요단 계곡의 뜨거운 열기가 증발시키는 양도 그에 못지 않아서 호수 안팎에는 많은 양의 소금 덩어리가 형성되어 있고, 염도가 보통 바다의 5배가 넘는 25%나 되는 곳이다.
사해는 많은 양의 소금뿐 아니라, 유황과 질산 성분의 물질들이 많이 녹아 있고, 비누와 비료의 원료가 되는 포타슘의 매장량은 전세계가 100년간 쓰고도 남을 양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해 주변에는 사해의 물에서 광물질을 뽑아내는 공장들이 들어서 있다. 또 사해의 물은 피부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이곳의 진흙은 피부미용과 신경통에 아주 좋으며, 산소의 양이 지중해보다 15%나 더 많고, 또 기후가 건조해서 호흡기 질환 치료에 아주 좋은 곳으로 소문이 나 있다. 따라서 사해 근처에는 이런 질병들을 치료하는 특수 병원들이 들어서 있다.
|

|
예수께서 체포되어 처형되기까지의 행로 금요일 밤(우리 시간으로는 목요일 밤) 초저녁에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 식사를 마치신 예수는 성전 뜰을 지나 겟세마네 동산으로 가신다. 그곳에서 기도하신 후에 체포되어 가야바의 저택으로 끌러와 심문을 받고, 공회의원들 앞에서 또 심문을 받으신다. 새벽녘에 총독 빌라도에게 끌려가 1차 심문을 받고, 이어 헤롯 안디바에게 심문을 받으셨으며, 다시 빌라도에게 보내어져 그곳에서 십자가 형을 언도받고, 채찍에 맞으신 후, 골고다에서 금요일 아침 9시경에 못박히셨다. 이후 6시간 정도를 십자가에 매달려 계셨으며, 오후 3시경 저녁 희생제사를 바치는 바로 그 시간에 운명하셨다. |

|
예루살렘 성전도 남쪽(좌측아래)의 건물이 왕실행각이고 동쪽(우측)의 건물이 솔로몬 행각이다. 초대교회가 모인 장소가 바로 솔로몬행각이었다. 서쪽(좌측)의 행각은 랍비들이 그들의 제자들을 가르쳤던 곳이다. 북쪽의 안토니아 요새에는 로마군이 주둔하였고, 총독의 관저도 그곳에 있었다. 행각 안쪽의 마당이 이방인들의 출입이 허락된 뜰이었고, 안쪽의 성전 영내에는 들어갈 수 없었다. 동쪽 성전 영내로 들어가는 입구가 미문이다. 미문안쪽 마당에는 이스라엘 여성들에게 출입이 허락된 곳이었다. 그리고 그 안쪽 성전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니가노(Nicanor) 문이며, 입구로 통하는 돌계단이 있었다. 이스라엘 남성들(13세 이상)과 제사장들에게 출입이 허락된 곳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남성들이라도 제사장들 이외에는 번제단이 있는 안쪽 마당으로는 들어갈 수 없었다. 번제단 안쪽에 있는 건물은 성소와 지성소가 있는 건물로 두꺼운 휘장이 두 방을 나누어놓고 있었다. 지성소에는 법궤가 놓여 있었는데, 대제사장이 일년에 한 차례 속제일에만 출입하였다. 성소에는 진설병과 금촛대 그리고 분향단이 놓여있었다.
|

|
바울 일행의 선교여행 지도
제1차 선교여정: (1)가는 길: 수리아 안디옥(13:1-3)→ 실루기아(13:4)→ 살라미(13:5)→ 바보(13: 6-12)→ 버가(13:13)→ 비시디아 안디옥(13:14-50)→ 이고니온(13:51-14:5)→ 루스드라(14:6-21)→ 더베(14:20-21)→(2)돌아오는 길: 더베→ 루스드라→ 이고니온(14:21-23)→ 비시디아 안디옥→ 버가(14:24-25)→ 아달리야(14:25)→ 수리아 안디옥(14:26-28).
제2차 선교여정: (1)가는 길: 수리아와 길리기아(15:41)→ 더베(16:1)→ 루스드라(16:1-3)→ 여러 성(16: 4-5)→ 브루기아(16:6)→ 갈라디아(16:6)→ 무시아(16:7)→ 드로와(16:8-10)→ 사모드라게(16:11)→ 네압볼리(16:11)→ 빌립보(16:12-40)→ 암비볼리(17:1)→ 아볼로니아(17:1)→ 데살로니가(17:1-9)→ 베뢰아(17:10-13)→ 아덴(17:14-34)→ 고린도(18: 1-17)→(2)돌아오는 길: 고린도→ 겐그레아(18:18)→ 에베소(18:19-21)→ 가이사랴(18:22)→ 수리아 안디옥(18:22)
제3차 선교여정: (1)가는 길: 갈라디아, 브루기아 지방(18:23)→ 에베소(19:1-41)→ 마게도냐(20:1)→ 헬라(20:2-3)→(2)돌아오는 길: 헬라→ 빌립보(20:6)→ 드로아(20:6-12)→ 앗소(20:13-14)→ 미둘레네(20: 14)→ 기오(20:15)→ 사모(20:15)→ 밀레도(20:15-38)→ 고스(21:1)→ 로도(21:1)→ 바다라(21:1)→ 두로(21:2-6)→ 돌레마이(21:7)→ 가이사랴(21:8-14)→ 예루살렘(21:15-16) |
소아시아 일곱교회의 배치도 각 교회는 약 80KM 정도씩 떨어져서 소아시아 지방에 말발굽 모양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시계 바늘 돌아가는 방향으로 에베소는 8시 방향에, 서머나 10시 방향에, 버가모는 11시 방향에, 두아디라는 12시 방향에, 사데는 2시 방향에, 빌라델비아는 3시 방향에, 라오디게아는 4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일곱 도시는 지리적으로 일곱 지역을 도는 우편물 센터였을 것으로 보인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