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국송재품소개

잔디,병해충

여주&토야 2010. 2. 6. 18:36

병발생 원인에서 본 라이족토니아 라지패취병


   식물병은 主因(병원균), 素因(식물), 誘因(환경)에 의해 발병하며, 이 3가지 요인이 동시에

성립되어야 발병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 3요소중에서 한가지만이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발병하지 않는다는 병발생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종합적인 방제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한국잔디의 난치병인 라지패취뿐만 아니라 다른 수많은 식물병해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主因(병원균)
   토양중에는 중량으로 0.3-0.8%에 달하는 수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다. 골프장의 잔디와 같이

 동일 식물을 연작하거나 특정균에 대하여 살균제를 연용하면 토양의 미생물상이 단순해지고,

특정 미생물이 증식하여 병원균이 활성을 갖게 된다. 제초제도 라지패취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主因(병원균)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는 농약이나 길항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살균제 처리는 타이밍이 중요한데, 대취내 온도가 21℃로 되는 가을과

봄의 예방시약이 효과적이고, 살균제의 효과도 라이족토니아균의 종류(R.solani, R.oryzae,

 R.ceealis)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다.

   2. 素因(식물)
   野生의 식물과는 달리 인간의 보호하에 있는 식물은 각종의 병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지고

병원균에 감염되기 쉬운 체질(素因)로 된다.
   내병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저항성 품종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저항성을 유도하는 등의 방법이 있는데, 궁극적인 목표는 건강한 잔디로 육성하는 것이다.

여기예는 예초작업이나 비배관리, 병충해 방제 등의 통상적인 코스 관리작업을 통한 경종적인 방법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라지패취에 대한 시비의 영향은 완전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발병기에 질소의 다량시비는

발병을 조장한다고 보고되어 있어, 통상적인 초가을의 복합비료 추비는 시비시기와 시비량에

 대하여 재고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칼륨과 칼슘, 규산질 등의 영양요소도

잔디의내병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굼벵이나 선충 등의 토양

해충에의해 뿌리에 상처가 생겨도 라이족토니아균을 비롯한 토양 서식 병원균이 침입하여 발병하게

 된다.

   3. 誘因(환경)
   발병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는 계절, 광선, 일장, 온도, 습도, 통풍, 강우, 관수, 토양산도

 등이 있으며, 이들 환경조건이 맞지 않으면 병은 발생할 수가 없다. 대부분의 토양에 병원균이

존재한다고 볼 때, 병 발생은 誘因(환경)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誘因(환경)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산도교정과 같은 화학적인 방법과 과습방지를 위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대변할 수 있다. 경종적인 방법인 물 관리는 토양의 물리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라지패취 억제의 열쇠라고도 할 수 있다. 라지패취 상습발병지와

 무발병지의 토양 물리성에 대한 일본에서의 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즉, 토양의

3상분포를 분석한 결과, 상습발병지는 固相의 비율이 높았으나, 무발병지에서는 氣和의 비율이

2배정도 높았고, 투수계수도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 토양(흙)을 하천사로 상토를 교체한 곳(1,600㎡, 깊이 20cm)에서는 라지패취의 발생이

 전혀 없었다. 한편, 대구컨트리클럽에서도 라지패취 대책으로 습지에 대한 암거배수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발병시에는 감염부위를 제거하고 20cm 정도의 깊이를 강모래로 채운

뒤에 잔디보식을 하는 방법을 수년째 하고 있는데, 초기의 병반은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보식한 곳에서는 아직까지 재발하지 않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병방제는 3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현재 병방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농약위주의 화학적 방제는 主因인 병원균에 한정된 방제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2가지 측면에서의 접근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인류의 병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복되었듯이 토양서식균에

불과한 라이족토이나 라지패취병도 머지않아 쉽게 정복될 날이 올 것이라 믿으며

 그린키퍼로서 희망을 가지고 있다.

 

★ 이상 잔디의 관리에 있어서 많은 연구결과 맥반석 규산염(100%수용성)을 이용한 당사의

 알파비옥산(분말형)과 스타폴리-703엘(액상형)을 이용한 잔디관리 입니다. 

※ 맥반석 규산염(100%수용성)을 이용한 잔디관리

 

 

 

 

 

 

항   목

관      리      요      령

1

일반관리

겨울 관수 : 겨울 가뭄 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인 관수

2

병해충방제

켄터키블루그라스 방제 : 한국잔디에 혼입된 한지형 잔디의 방제를 위하여 비선택성제초제나 아슐람( 1.5g/물ℓ) 사용

설부병 예방 및 방제 : 눈이 녹을 때에는 각종 설부병이 발생하므로 눈이 오기 전에 로브랄 0.6-1.2g/㎡ 살포하여 예방

춘고병 방제시약 : 남부지방의 경우 2월말경 예방시약 실시

3

일반관리

스위퍼 및 배토작업 : 고엽을 예초한 후 3-5㎜ 정도 배토 실시

관수 : 건조하기 쉬운 지역에 부분적 관수

병해충

잡초방제

춘고병 방제 : 작년에 발생이 많았던 지역 및 건조하기 쉬운 지역을 중심으로 예방시약 실시(토양 수용성 규산염제 전층시비 알파비옥산 10-20kg/10a 년 1회)

잡초방제 : 발아전 제초제 살포

4

일반관리

예초 : 연간 관리할 예고를 정하여 주기적인 예초로 잔디신초의 생장을 촉진시킴

시비

황화잔디 회복 : 황화현상이 발생한 지역에 스타폴리-703엘을 각각 500-1.000배액으로 혼합하여 10일 간격으로1~2회 살포

복합비료 시비 : 잔디의 새뿌리가 1㎝정도 내려갔을 때 질소순성분으로 3-3.5g/㎡시비

병해충

잡초
방제

라지패취 방제 : 벚꽃개화기에 라지패취병반이 발생하기 시작. 남부지역의 경우 1차 예방시약 실시. 세심한 예찰실시. 라지패취병 억제목적으로 수용성 규산염제(스타폴리-703엘)시비250-500배액 1-2회 엽면시비

제초제 살포 : 4월초에 발아전 제초제 살포. 작업 효율성을 위해 발아전 제초제에 경엽 처리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되 잔디 생육상태와 기후조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됨

굼벵이 방제 : 굼벵이 상습 발생지를 중심으로 시약 또는 유인기 설치

5

일반관리

예초 : 예고는 티의 경우 15-20㎜로 유지

시비

? 5월은 잔디뿌리 성장의 초기이므로 과다시비 주의

? 4월에 시비하지 않은 경우, 5월초. 중순경에 알파비옥산10-20kg/10a 시비

? 화학비료의 시용여부에 관계없이 티, 페어웨이는 순수 유기질비료 80-150g/㎡시비

병해충

잡초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남부지역의 경우 2차시약, 중부지역의 경우 1차시약 실시(스타폴리-703엘 250배액 10일간격으로 2회엽면시비)

굼벵이 방제 : 잔디뿌리를 가해한 증상이 발견되는 즉시 메프(1,000배액), 그로메(1,000배액), 모캡 살포

잔디깍기벌레 방제 : 상습발생지역에 메프 시약

잡초방제 : 경엽제초제에 의한 약해발생시 회복이 1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에 사용상 주의

6

일반관리

예초 : 예고는 정원의 경우 30-50㎜로 유지

버티칼모잉, 통기작업 실시 : 버티칼모잉을 실시하여 잔디의 밀도를 높이고, 대취를 제거하여 라지패취 발생을 감소시킴. 통기작업을 실시하여 토양의 고결화를 완화시키고, 배토에 의한 새로운 작토층을 형성시켜 신초의 생장 촉진

장마철 대비 : 맨홀 및 측구 청소실시. 붕괴의 우려가 있는 성토면은 비닐을 덮어 빗물의 침투 방지

시비

복합비료 시비 : 강한 갱신작업의 회복을 위해 무인산복합비료 10-15g/㎡시비

병해충

잡초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장마전에 전면시약 실시. 남부지역의 경우 3차시약, 중부지역의 경우 2차시약(스타폴리-703엘 250배액 10일간격으로 2회 엽면시비)

멸강나방 방제 : 쥐똥나무 개화기에 성충비래. 철저한 예찰을 통하여 발견 즉시 메프(1,000배액)살포

잡초방제 : 선택성 경엽제초제를 이용한 잡초방제

7

일반관리

예초 : 예고는 정원의 경우 30-50㎜로 유지

버티칼모잉 : 장마기를 피하여 실시. 잔디의 절간을 잘라 분얼을 촉진시켜 밀도를 향상시킴. 대취를 제거하여 라지패취의 발생을 줄이고 약제의 침투를 향상시킴

시비

복합비료 시비 : 꼭 필요한 경우에만 10-15g/㎡시비. 이식한 잔디 회복위해 소량시비 필요

병해충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장마기에 발생한 병반에 대하여 부분시약 실시. 장마기에는 약제의 유실이 많으므로 침투이행성약제를 사용하거나 전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음

라이족토니아성 엽고병 방제 : 장마기에 예고가 높은 러프지역에 주로 발생함.

          상습발생지에 라지패취방제약제 시약(스타폴리-703엘 250배액 10일간격으로 2회시비)

8

일반관리

예초 : 예고는 정원의 경우 30-50㎜로 유지

버티칼모잉 : 장마기를 피하여 실시. 잔디의 절간을 잘라 분얼을 촉진시켜 밀도를 향상시킴. 대취를 제거하여 라지패취의 발생을 줄이고 약제의 침투를 향상시킴

시비

마지막 복합비료 시비 : 경기도, 강원도 지역은 복비 3-4gN/㎡을 하순경에 시비.

                                  기타지역은 9월초 시비

미량원소 시비 : 부족한 철분, 고토비료 1회 시비

병해충

잡초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가을철 발생을 대비하여 8월말경에 전면적인 예방시약 실시

라지패취방제용 수용성 규산염제시비 : 알파비옥산 10a당 10kg시비 및 스타폴리-703엘 500배액 10일 간격으로 2-3회 시비

잡초방제 : 8월말경부터 가을철에 문제가 되는 새포아풀, 바랭이 등의 방제를 위하여 발아전처리제 시약

9

일반관리

예초 : 9월은 잔디생장량이 적어지고 휴면을 위해 저장양분을 축적하는 시기이므로 예고를 40-50㎜로 상향조정하여 광합성량 증대시킴

시비

저장양분 축적에 필요한 마지막 시비 : 복합비료 3.5-4.0gN/㎡의 1회 시비가 필수.

       시비가 늦을 경우 춘고병 감염을 증대시키고 동해가 유발 될 수 있으므로 중부지방 기준으로 9월 10일까지 시비완료 필요

병해충

잡초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가을 강우시에는 격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제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철저한 예찰 실시. 10일간격 스타폴리-703엘 2회정도 전면시약 실시(

라이족토니아성 엽고병 방제 : 예고가 높은 상습발생지에 라지패취 방제약제 1회 시약

녹병방제 : 가을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면 광합성이 감소하고 양분의 소실이 많아 이듬해 맹아출현이 나빠지는 원인이 됨. 녹병, 라지패취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스타폴리-703엘이 효과적임

잡초방제 : 8월 말부터 가을철에 문제가 되는 새포아풀, 바랭이 등의 방제를 위해 발아전처리제 시약

10

일반관리

예초 : 10월은 잔디생장량이 낮아지고 휴면을 위해 저장양분을 축적하는 시기이므로 예고를 40-50㎜로 상향조정하여 광합성량 증대시킴

시비

복합비료나 유기질비료 사용은 불필요

규산질비료 시비 :  티, 페어웨이는 입상규산질비료 10kg/10a 시비. 켄터키블루그라스, 라이그라스 및 페스큐류와 같은 한지형잔디에도 규산질비료의 효과가 크므로 연간 1-2회 시비는 필수

병해충

방제

라지패취병 방제 : 휴면전에 가끔씩 발병이 되므로 예찰을 실시하여 발생증상이 보이는 지역에 부분적인 시약 실시

춘고병 예방시약 : 일일 최고기온이 18-20°C일 때 춘고병에 감염되므로 이 시기에 브라운패취병이나 라지패취병 방제용 약제로 예방시약 실시

녹병방제 : 가을에 녹병이 심하게 감염되면 광합성이 감소하고 양분의 소실이 많아 이듬해 맹아출현이 나빠지는 원인이 됨. 녹병, 라지패취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스타폴리-703엘이 효과적임

11

일반관리

잔디보호재 설치 : 월동기간중 잔디보호를 위해 비닐+차광망 피복. 집중적인 답압지역이나 상시 응달 지역에는 잔디의 관부가 손상받기 쉬우므로 인조매트, 부직포, 솔잎 등 설치

보수공사 : 맹암거 설치공사. 배수불량이거나 물이 고이는 곳에는 맹암거 공사

시비

토양분석을 통한 시비계획 수립 : 조경지역의 잔디및 수목의 생육 상태가 불량했던 곳은 토양을 분석하여 내년도 시비관리에 반영. 토양시료는 마지막 시비 15일후에 채취

병해충
방제

설부병 방제 : 강원도 고랭지의 한지형 잔디는 첫눈이 오기전에 예방시약 실시. 방제약제는 브라운패취 방제용약제나 스타폴리-703엘 및 알파비옥산 이 효과적이다

12

시비

토양분석을 통한 시비계획 수립 : 금년도에 잔디의 생육상태가 불량했던 곳은 토양을 분석하여 내년도 시비관리에 반영.

병해충

잡초
방제

설부병 방제 : 눈이 많은 지역이나 눈이 오랜 기간 녹지않는 곳은 각종 설부병이 발생하므로 눈이 쌓이기 직전에 2회정도 로브랄과 톱신엠을 각각 1,000배액(1ℓ/㎡)으로 살포하여 발병 예방을 하나 그전 10월경에 알파비옥산 시비함으로 설부병 방제는 이루어진다

경엽제초제 살포 : 한국잔디에 발생한 새포아풀, 켄터키블루그라스 등의 잡초제거를 위해 경엽제초제 1회의 부분 살포. 이때 주의점은 농약 농도와 살포량을 기준량에 맞추어 살포해야 한국잔디에 해가 없음


※잔디식물(일반잔디,골프장 그린잔디)에 최적합 규소 성분을 다량으로

 공급하여 뿌리 활착성은 물론 잔디 번식력을 대폭 증가 시켜줍니다.

 

맥반석 규산염(100%수용성)이란?

맥반석을 X선회석법이란 기계로 분석해보면, 규산(SiO 2 ) 89%, 산화알루미늄(Al 2 O3 ) 14.01%, 마그네슘(Mg)3.55%, 칼륨(K) 3.19%, 티탄(Ti) 0.303%, 산화망간(MnO) 0.02% 등 약 25,000 종류 이상의 다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구성된 맥반석을 325멧슈(0.943㎜) 입자로 미분말화하여 그 한 입자를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산호초나 해면과 같이 매우 다공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다공성의 성질은 방청방식효과 외에도 멸균작용이 강하며 맥반석이지닌 " 미네랄의 용출" , " 물리적 또는 화학적 활성흡착작용" , " 이온교환" 등과 매우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맥반석이물을 만나면 다량의 미네랄을 용출하여 수화작용을 활발히 하고,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풍부히 하여 물에 활성을 제공하여 준다.

 

잔디용 친환경 농자재  특허 제0477490호

스타폴리-703엘(STARPOLY-703L)-액상형 / 알파비옥산-분말형

-잔디전용 맥반석 규석 복합 미네랄제-

 

효능 및 효과

1. 친환경 제품이므로 농약 비료 사용량 최소50%이상감소 및 환경 보호

2. 잔디 뿌리 활착력 강화 및 번식 성장성 증대/ 뿌리 썩음 병 예방 및 치유 효과

3. 각종 병해충 및 사상규,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별력 대폭 증대

4. 토양 내 염류집적 해소 및 완화 작용 및 흡수성이 높은 복합 미네랄 다량 공급으로

 지력 향상

5. 골프장 그린잔디에 남조류 생성 억제 및 예방 효과 / 잔디 신진대사 촉진 및 신엽 생산

증대

 

★스타폴리-703엘(액상형-엽면시비용)                ★알파비옥산(분말형) 1년 1회 토양 전층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