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작형별 적응품종 및 재배상의 유의점 |
|
|
기관 : 고령지농업시험장 |
|
성명 : 김숭열 |
|
전화 : 033-330-7800 |
|
|
|
|
|
|
|
|
감자 품종은 생태적환경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도 및 재배작형에 따라 알맞는 품종과 재배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다음의 표를 참고로 하여 각
재배작형에 따른 알맞는 적응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여야 한다. |
|
|
|
|
|
|
|
표 1. 작형별 재배적응 품종 |
|
작형별(재배시기)
|
남작 |
수미 |
대지 |
세풍 |
조풍 |
남서 |
대서 |
가원 |
추백 |
자심 |
봄재배 (2월하순~7월상순) 여름재배 (4월하순~
9월하순) 가을재배 (8월~12월상순) 겨울재배 (12월중순~5월중순) 겨울시설재배 (1월~5월
상순) |
○
○
X
X
X
|
○
○
△
△
○
|
○
△
○
○
○
|
○
○
X
X
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X
X
△ | |
|
주) ○ : 적응, △ : 준적응, × :
부적응 |
|
|
|
|
|
|
|
1. 봄재배 |
|
봄재배는 총 재배면적이 약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안정된 재배형태이나 경영적 및 재배적으로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
|
|
|
|
|
|
|
○ 수확기가 6~7월에 집중되어 홍수출하에 의한 가격폭락으로 농가소득이
감 소된다. ○ 파종후 저온으로 감자싹의 출현이 늦다. ○ 덩이줄기 성숙이후 6~7월의 장마로 다습하여
품질저하와 함께 부패되기 쉽다. 따라서 주요재배 요점은 품종선택, 초기파종, 파종후 지온상승, 토양 수분관리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
|
|
|
|
|
|
|
2. 여름재배 |
|
주로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형태로 주·야간 온도교차가 크고
진딧물 밀도가 낮아 주로 씨감자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육기간이 봄재배보다 길기 때문에 수량과 품질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기상조건과
재배면적의 제한으로 타 작물과 경합되어 문제되고 있다. |
|
|
|
|
|
|
|
○ 생육성기인 6~7월과 괴경완숙 및 수확기인 8~9월 장마와
일조부족은 수 량감소의 요인이 되고 있다. ○ 고냉지 채소 및 화훼재배가 증가되어 진딧물에 대한 기주식물로
작용한다. |
|
|
|
|
|
|
|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유의사항은 중생 및 만생 형태로
생육하는 대지와 대서 품종 등은 장마로 인한 부패발생이 심하므로 수확후 잘 건조하여 상자 등으로 저장하여야 하며 씨감자 재배는 타 작물과
격리하고 약제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
|
|
|
|
|
|
3. 가을재배 |
|
가을재배는 총면적의 20%정도로 주년 공급측면과 경영상
유리하여 첫서리가 늦게 오는 중부 및 남부지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남부해안 지대는 이른봄과 가을에 진딧물 밀도가 낮아 채종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가을재배는 생육초기에 비교적 온도가 높아 초기생육이 빠르고, 생육 후기에는 서늘하고 주, 야간 온도교차가 크므로 덩이줄기 비대가 빨라
짧은 기간내에도 수량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
|
|
|
|
|
|
|
○ 파종기인 7월 하순~8월 중순에 고온, 다습에 의한 씨감자 부패로
입모율 저조하다. ○ 생육기간을 최대한 확보(70~80일 이상)한다. ○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 및 충분히
휴면타파된 종서원을 선택한다. |
|
|
|
|
|
|
|
4. 겨울재배 |
|
겨울재배는 단경기 출하 목표로 발달된 작형으로 소득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재배형태는 비교적 온도가 높은 제주도에서는 11월경 비닐 피복과 턴널로 재배하며, 남부의 시설재배 지대에서는 하우스내에
비닐멀칭+턴널 및 2중하우스로 수막을 설치하여 온도 관리를 극대화하는 형태로 재배한다. 시설재배는 12월 중순~1월 중순기간 육아하여 1월내에
정식하여 4월 중하순에 수확하며 재배요점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적품종은 단휴면성으로 여름 및 가을재배산이 종서원으로 적합하다.
○ 생육초기 저온 관리 및 생육후기 환기에 유의한다. ○ 시설재배는 수막재배를 하여야 고가 출하기인 4월
중하순에 수확기를 맞출 수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