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 숯

[스크랩] 숯의 주요기능과 이용방법 | 실내공기정화용 숯

여주&토야 2007. 2. 19. 20:57

숯의 주요기능과 이용방법 | 실내공기정화용 숯 2004/07/13 18:08

http://blog.naver.com/ybrafoofa/4015488


정수,정화 기능






흡착에는 물리적 흡착과 화학적 흡착이 있는데 물리적 흡착은 분자와 분자사이의 인력에 의해 그대로 표면에 흡착되어지는 현상인데 가열 등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를 가하면 분자는 쉽게 분리된다. 화학적 흡착은 화학적으로 흡수하는 현상으로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가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흡착분자가 분해되어 버린다.









활성탄의 경우 이러한 흡착력을 강화시킨 탄소재로서 버뮤라이트등의 다공체는 물리적 흡착이 많아 예를 들어 미량의 액체를 흡착시킬 때 건조되면 거의 그대로 분리되지만 숯은 농약을 흡착하고 수분만 분리시킨다. 또한 숯은 약 알칼리성을 띠어 미 생물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오수의 정화기능이 탁월하다.







가스흡착 및 선도유지





식물은 스스로 에틸렌 가스를 발생시켜 숙성 및 노화를 촉진시킨다. 목탄은 이러한 에치렌의 흡착성에 우수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에치렌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꽃이나 과일, 야채 및 식품 등의 부패를 지연시켜 선도를 유지시켜 주므로 식물의 보관 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된다.







습도 조절기능





마루 밑이나 창고 등 환기가 불충분한 건물에서는 지반으로부터 수증기가 장기간 체류하기 때문에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목재의 부패와 고습도로 인한 냄새로 불쾌감을 초래하게 되는데 숯을 넣을 경우 흡탈착 기능에 의하여 쾌적한 습도를 유지할수 있다.









또한 씽크대 밑에 숯을 놓아둠으로서 수분을 차단하여 바퀴벌레 등 곤충의 서식을 막을 수가 있다. 이 문제는 농촌 주택일수록 더욱 절실한 과제가 아닐 수 없는데 얼마전 일본의 NHK가 방영한 자료에 의하면 같은 마루 밑에서 숯자루를 넣어둔 곳의 습도가 50%인 반면 그렇지 않은 곳의 습도는 76%나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더라도 냄새는 물론 곤충의 서식을 막는데도 큰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탈취기능




목탄의 다공질은 암모니아 가스 등의 냄새를 흡수하는데에도 탁월하기 때문에 특히 냉장고 속에 넣어두면 김치 냄새가 훨씬 덜 나고 야채실에 넣어 두면 야채의 신선도가 훨씬 오래간다.






또한 벽장이나 장롱, 신발장 속에 휴지로 쌓아서 넣어 두면 과잉습기를 제거하므로 곰팡이 발생이나 악취가 나지 않게 된다. 다만 분기에 한번 정도 햇빛에 건조시켜 주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없어질 때까지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훨씬 경제적이다.






원적외선,음이온 발산





숯에서는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지표 1평방미터당 약 200g의 숯을 살포하면 지표의 온도가 약 7℃ 상승한다. 그래서 겨울철 눈을 녹일 때나 의료용 침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눈 위에 1평방미터당 약 25g의 숯을 살포하면 눈이 약 7일 정도 빨리 녹는다.








또한 눈이 녹은 후 목초의 발아가 빨라지고 수확량도 증가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으며 일본에서 의료용 침구를 제작하여 삿보로 시내 5개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와 자택에서 장기 요양 중인 2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수족 냉병이나 불면, 만성피로, 혈액순환 장애, 요통 등의 증상에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숯에서는 원적외선 외에 음이온이 발산되는데 이것은 숯이 약 알칼리성을 띠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음이온은 식물이나 인체의 산화를 막아주어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게 해 주는 마이너스 전자로 근래에 들어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회분,미네랄(230여종)에 의한 유기농법에의 응용





숯에는 회분이 약2-3%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회분은 나무가 오랜 세월에 거쳐 흡수 해 올린 귀중한 미네랄로 유해성분이 없이 인체에 대단히 유익한 미네랄로 특히 식물에는 미량원소 보급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제련,제독





예로부터 대장간에는 의례 숯을 사용해왔다. 물론 일시에 고열을 내어 제련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에 와서는 숯을 이용하여 가스나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특수강이나 순도가 놓은 철을 뽑아내기 위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화학물질의 촉매나 융화반응을 끝내고 난 후 불필요한 물질의 제거나 제독, 기타 선재 피막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연마제




숯의 성분은 탄소가 90%이상으로 탄소함유율 100%인 다이아몬드와 같이 단단한 경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숯의 성질을 이용하여 연마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전자파 차폐기능






전자 렌지, TV, PC, AUDIO등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통신 장해. 전자기기의 오동작은 물론 인체에도 해로운 문제를 일으키는 전자파를 고전도화시킨 목탄을 고체로 만들어 차폐시키면 불필요한 전자파를 막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가전제품의 곁에 숯을 놓아 두기만 해도 전자파의 발산을 막아주어 건축 재료등으로의 이용이 예상되고 있다.







약용탄으로서의 이용






대한 약전에서는 약용탄(Carbo Medicinalis)을 분명히 약으로 고시하고 있으며 미국의 약전(USP
Ⅶ)에서도 활성탄을, 일본약전(JPⅦ)도 약용탄을 약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들 약전에서는 숯이 지사제, 해독제로 유효하다고 밝히고 있으며 의학계는 숯이 이 밖에도 진통, 해열은 물론 발암 물질의 제거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카본사가 밝힌 바에 따르면 숯의 용도는 섬유제조, 공기 정화, 음료제조, 방사능 물질 제거 등 104종에 이른다고 각 항목을 나열하고 이것은 유형별 분류이기 때문에 그 용도는 더욱 넓다고 한다.





약용탄의 의학적 성능은 흡착, 해독, 진통, 해열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약용탄의 흡착력은 대단히 강하고 신속하다. 사용 즉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약용탄의 특징이다.







그러나 흡착력이 강하다고 모두 약용으로 쓸 수 없다. 인체에 유익한 성분은 그대로 두고 유해한 것만 흡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숯의 신비는 바로 여기에 있다. 대체로 영양소등 유익한 것은 내버려두고 유해할 것만 집중적으로 흡착해 들이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소화제로서 위에 가스가 생기는 사람, 위염, 위궤양, 간염의 치료, 예방과 위함 환자에 응용할 수 있으며 간 기능을 활발하게 해 주어 간염에 좋은 임상효과를 얻고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도 응용 치료한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일본 약전에서는 흡착제, 해독제로서 약물 중독, 자가 중독에 사용한 것을 찾아 볼수 있으며 괴저(몸의일부가 썩는 병)에도 사용한 기록이 있다.






약용탄으로서의 사용법

*목욕법, 각탕법, 복용법, 환부접촉법, 가루 찜질법등으로 나누어지며 증상별 요법은 다음과 같다.





간경화 암



간경화 암등으로 인해 복수가 차거나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숯가루와 함께 올리브유를 1:1 비율로 섞어 환부에 붙여 준다.









각종 간 질환




하루 2회 정도 숯가루 3숟가락을 물과 함께 마시고 신야초를 이용한 녹즙 생가루, 포도즙등의 자연식을 병행하고 숯가루 목욕법과 찜질도 같이한다. 간염의 경우 숯가루 드레싱을 만들어 복부 전면(간부위를 중심으로)에 밀착시켜 붙인다. 목욕하고 더운물 찜질을 하는 동안만 빼고 항상 붙여주며 8시간에 한번 정도 갈아 주어야 한다.





당뇨병


아침저녁을 숯가루 한두 숟가락씩 먹고 심한 경우 하루 4번 정도 복용한다. 허리 부위에 숯가루를 붙이거나 찜질을 하면서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한다.





각종 위장 질환
숯가루를 먹고 숯가루와 올리브유, 유칼립터스유등을 혼합해 거즈를 붙인다. 숯 찜질도 좋다.









피부습진 피부 알레르기, 가려움증
숯가루를 두 숟가락 정도 먹는다. 습진이나 염증이 심한 부위에 숯가루 찜질을 하고 숯가루 목욕을 한다.






치통
숯가루를 개서 붙인 후 떨어지지 않게 호일로 싸 주면 통증이 멎는다.






축농증




숯가루를 아침저녁으로 1주일 정도 먹는다. 또는 녹말 가루와 숯가루를 1:4의 비율로 혼합, 풀을 쑤어 거즈에 2-3mm 두께로 펴서 바르고 코를 충분히 덮은 다음 비닐을 덮고 반창고로 고정시킨다. 잠잘 때 하는 것이 좋으며 8시간마다 갈아 붙인다. 편도선염도 같은 방법으로 목부위에 드레싱 한다.







뱀, 벌, 모기 등에 물렸을 때
숯가루 찜질을 하고 내복한다.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

'황토, 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숯이란...?  (0) 2011.10.20
[스크랩] 숯의사용법과사례  (0) 2007.02.19
[스크랩] 건축에이용되는숯  (0) 2007.02.19
[스크랩] 활성탄관련용어  (0) 2007.02.19
[스크랩] 활성탄소  (0) 2007.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