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산

[스크랩] 토양과규산

여주&토야 2010. 4. 23. 10:50
Ⅰ. 개요 ♣ 본 제품을 소개하기에 앞서 본 제품에 대한 본질을 학술적으로 이해함으로서 보다 더 본 제품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제품은 Sillicate(일명:차돌)를 1650℃이상 고열로 융용 농축한 순도 99.9도의 순수한 물질로서 발명특허 제 0361044호를 획득하 였으며, 환경부 먹는물 관리법 제18조2항의 규격성분이기도 하며, 농업용은 발명특허 제0415594호를 획득 제조한 친환경 무공해 제품이다. ♣ 본 제품의 Si(규소)성분은 인체의 골격형성에 필수적인 원소이며, 사람과 동물의 조직이나 체액 속에 SiO3의 현태로 비교적 고농도로 존재한다. ♣ 규석은 원래 강알칼리성분이며 물을 맑게 하는 신비스러운 자정능 력(성경시편 108장 8절 참고)을 갖고 있다. 그 예로 우리나라 남한강 강물은 맑기로 유명하며, 그 이유는 남한강 유역에 순도 높은 규석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과 이천지역에 도자기 공장이 많은 것도 규석의 규소성분(Si: 引性分)이 타지역에 비해 순도가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당사가 개발한 제품 하나 하나가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토양과 수질 을 정화시키는 자정능력이 뛰어난 제품으로서 죽어 가는 환경을 되살리는 물질로 우리사회에 자리잡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 규산염과 원적외선 ☞ 원적외선이란? 에너지의 일종으로 파장대가 0.76~1.5 미크론 대를 近赤外線(근적 외선), 1.6~5.6 미크론 대를 中赤外線(중적외선), 5.7~1,000 미크 론 대를 遠赤外線(원적외선)이라 하며 이중 5~30 미트론 파장대 가 우리 생활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원적외선의 효능(인터넷 창에서 확인할 수 있음) 원적외선은 모든 동ㆍ식물의 생체를 구성하는 유기체와 공명(共 鳴), 공진(公賑) 현상을 일으키는 심달력(深達力)이 있다. ¤ 모든 동ㆍ식물의 세포를 1초에 2,000번 이상 미세하게 흔들어주는 진동으로 세포조직을 활성화시켜 생명활동을 황성하게 해준다. ¤ 세포내부에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생장을 촉진시키며, 세포내부의 유해물질인 노폐물을 배출시켜 생기를 갖도록 한다. ¤ 세포내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발한작용(發汗作用)을 함으로써 혈액 및 모든 순환작용을 촉진, 통증완화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과, 탈취효과, 방균효과, 제습효과 등이 뛰어나다. ¤ 동ㆍ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순환작용을 활성화 함으로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 수질을 정화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음식물의 맛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시킨다. ¤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방충효과와 공기정화 효과 등이 탁월하다. →예 1 : 동물이 적당히 움직일 때(운동)와 식물이 약간의 바람이 불어줄 때 생명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 2 : 식물의 열매가 익는 것은 태양(원적외선)의 에너지 작용과 흙 속에서 흡수되는 규소(원적외선) 성분에 의한 것이다. ☞ 규산염(SiO3)의 효능 일반적으로 규산염은 천연 알칼리물질로서 동ㆍ식물에 유익한 미생 물들에게는 좋은 물질이지만 유해한 미생물들은 기피하는 물질이다. 이처럼 유해한 미생물들은 대부분 산성을 좋아하기 때문에 환경(동ㆍ식물의 체내 외) 조건에 따라 유해한 균이나 충은 활동이 활발해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의약품 과 독성농약 등은 강산성물질로서 어떤 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면 유해한 미생물이나 유익한 미생물까지 사멸시키는 효과는 있을지 모르지만 사람과 동물, 식(작)물도 다소의 피해가 따른다고 보아야 한다. ¤ 규소(Si)는 인(引)성질이 강하므로 동물의 뼈(骨)세포조직, 식물의 줄기 세포 조직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벼의 도복현상을 방지하고 열매식물의 낙과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오존(O3)은 흙이나 물 속에서 산소를 풍부하게 제공해주기 때문에 모든 동ㆍ식물에게 필수적인 산소공급을 도와준다. →예 : 동ㆍ식물에게 산소는 필수적이나 공기를 아무리 많이 마셔도 그 속에 산소가 미미하다면 좋은 공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도심 속의 공기와 숲 속의 공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Ⅱ. 수용성 규산염 제품 효능 및 사용방법 ♣ 개 요 ☞ 모든 생명체는 종자(씨)가 좋아야 일생동안 건강하다. 따라서 작물 씨앗 선택을 잘해야 하며, 또한 토양(土壤)을 빨아먹고 살기 때문에 토양이 건강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 씨를 소독할 때 : 물 1말(20리터)에 파스카-겔 2뚜껑(30~40cc)정도를 혼합하여 1~2시간 정도 담갔다가 꺼내서 종묘 판에 뿌린다. 종묘를 구입해서 본답에 이식할 경우에는 본답에 이식 전에 물1말 에 파스카-겔 2뚜껑을 혼합하여 뿌리 쪽에 2~3회 살포한 다음에 심는다. ☞ 싹튼 후 묘종 때(물 1말에 병 뚜껑 1개의 양을 혼합하여 살포, 약하게) : 종묘를 본 답에 이식할 때 종묘간 간격을 평소보다 넓게 띄워 심어야 밭에 바람이 잘 통하고, 광합성 작용이 잘 되도록 햇볕 도 잘 들어야하며, 수분조절 또한 잘 되게 하면 작물 하나 하나가 튼튼하게 자랄 수 있어 각종 병충해를 이겨낼 수 있는 내병성을 갖추게 되고, 이러한 조건이면 종묘를 적당량을 심고도 병충해 없이 알뜰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인 재배법이라 할 수 있으며, 묘종을 많이 심으면 많이 수확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이다. ☞ 본 답 준비는 종묘를 옮겨심기 2~4개월 전에 시리파겔(입상)을 수 답(논)은 300평, 건답(밭) 150~200평당 800gr(1병) 기준으로 정부 보조로 받은 규산질 비료나 흙, 또는 미사토 등에 섞어서 경작지에 골고루 뿌린 다음, 경운(노타리)해 두었다가 이듬해 재배할 시기에 작물을 재배하면 각종 병충해를 예방은 물론, 안전한 고품질의 농산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 토양의 비료성분 흡수 ☞ 비료의 정의 ¤ 비료는 식물이 정상적으로 생육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공급한는 모든 물질이다. 비료는 넓은 의미에서 유기질, 무기질, 천연산, 합성품 등을 포함한다. ¤ 인류가 농산물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하여 비료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농업이 시작되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으며 대략 5천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 원시적인 경작시대에 인류는 작물의 생산을 토양의 자연 비옥토에 맡겼으나. 곧 가축의 배설물 또는 외양간, 낙역, 두엄, 식물유체 등 유기물을 비료로 활용하는 지혜를 터득하여 이를 사용하면서 더 많은 수확을 얻게 되었다. ¤ 농산물 증산을 위한 비료의 사용량증가는 근래에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유발하고 시품안전성을 해치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식물체의 조성 ¤ 식물의 회분 중에는 보통 60여 종의 화학원소가 검출되며, 화학원 소의 종류나 함량은 식물의 종류와 나이, 부위 등에 따라 다르다. 식물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화학성분은 비교적 많이 들어 있는 다 량원소와 적게 들어있는 미량원소로 구분된다. <식물의 필수원소 함량기준> 다량원소미량원소원소%원소%원소%원소ppm원소ppm탄소45질소1.5마그네슘0.2철100붕소20산소45칼륨1.0인0.2염소100구리6수소6칼슘0.5황0.1망간50몰리브덴0.1아연20 ¤ 유용원소 : 식물의 종류에 따라 규소, 나트륨, 코발트, 셀렌 등을 요구하는 것 들도 있는데, 이들 성분을 유용원소라고 한다. ¤ 식물이 필요로 하는 화학성분 모두가 비료로 공급될 필요는 없다.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탄소, 산소 및 수소는 이산화탄소와 물에 서 얻게 되며, 작물이 필요로하는 다른 원소들은 대게 토양에서 흡 수한다. ☞ 비료의 요소 ¤ 3요소 : 질소, 인산, 칼륨 ¤ 4요소 : 질소, 인산, 칼륨, 칼슘 ¤ 5요소 :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 토양 속 각 성분의 식물체내 생리적 작용에 대하여 ☞ 질소(N) ¤ 질소는 모든 생물체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단 백질의 구성요소이다. ¤ 단백질 구성의 기본요소인 C, H,O, N, S 중 질소는 단백질 가운 데 16%를 차지하고 있다. ¤ 질소가 너무 많이 흡수되면 탄수화물의 생성이 적어져 세포벽이나 조직이 연약해지고, 이로 인해 병충해 및 재해 저항성이 약해지며, 반대로 질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하면 염록소의 생성 발달이 나 쁘고 잎이 작아지며 전체 생육이 약하고 조직의 노화가 빠르다. ☞ 인(P) ¤ 인산은 어린잎과 뿌리의 끝 부분과 같이 대사의 활성이 높은 조직 안에 많이 집적된다. ¤ 인산은 질소와 같이 이동성이 크기 때문에 부족하면 늙은 조직의 것이 어린 쪽으로 옮겨가나, 많이 부족하게 되면 핵산이나 단백질 의 합성이 줄어 세포분열이 쇠퇴되고 식물전체의 생육이 약해진 다. ☞ 칼륨(K) ¤ 칼륨은 모든 고등식물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양(+)이온으로 식물체 안에 대부분이 물에 녹아 있는 이온 상태로 있거나 무기 및 유기산염으로 존재하며 일부는 원형질의 구조 안에 흡착 또는 결합되어 물로 침출되지 않는다. ¤ 칼륨은 식물체의 분열조직에 많고 광합성이나 단백질합성 등의 대 사활동이 황성한 곳에 집적되어 있다. ¤ 칼륨의 기능은 원형질의 구조를 잘 유지시키고 ph와 삼투압을 조 정하여 세포안의 물질대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며, 기공의 개폐와 수분의 조절작용 및 여러 가지 효소계의 활성황에 간여한 다. ¤ 칼륨 결핍증상 : 칼륨은 식물체 안에서 이동이 쉬우므로 결핍 증상 은 오래된 잎부터 먼저 나타나며, 잎의 끝 부분이나 가장자리가 황갈색으로 변하며, 표면에 갈색 반점이 생기며 아래 잎부터 말라 죽기 시작하고 잎 조직이 붕괴되어 괴사되며, 줄기와 마디가 짧아 져 키가 크지 못한다. ☞ 칼슘(Ca) ¤ 칼슘은 펙틴질의 구성성분으로 세포의 신장과 분열에 관여하여 꽃 가루의 발아와 꽃가루관의 신장에 필요한 성분이다. ¤ 칼슘은 이동이 어려운 성분으로 어린잎보다 늙은 잎에 많다. ¤ 칼슘 결핍증상 : 흑변현상, 채소의 배꼽썩음병, 속썩음병. ☞ 마그네슘(Mg) ¤ 마그네슘은 여러 가지 체구성 물질의 구성원소이다. ¤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아래 잎부터 황화되기 시작하며 심하면 전체 가 누렇게 되며, 엽맥은 엽육보다 녹색이 오래 남믄 특징을 보이 며 잎의 가장자리에 갈색 내지 적갈색 점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 황(S) ¤ 황은 효소나 생체의 산화환원 조절기능을 가지는 물질에서 -SH를 작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 황이 결핍되면 황 함유 아미노산과 단백질의 합성이 잘 안되며 잎 사귀가 적고 엽록소의 생성이 줄어 황록색을 띄게 된다. ☞ 철(Fe) ¤ 철은 식물체내에서 80%이상이 염록체 안의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 다. ¤ 철은 염록소의 구성성분은 아니지만 염록소의 생합성 과정에 필요 한 원소로서 부족하면 잎에 독특한 황화현상이 나타난다. ¤ 철은 광합성 작용이나 호흡대사 작용과 관련하여 효소의 기능이나 생체 내의 산화 환원작용의 전자수송 역할을 맡기도 한다. ¤ 철은 식물체 안에서 이동성이 매우 적으므로 부족 시 상부의 잎 부분부터 황화가 일어난다. ☞ 망간(Mu) ¤ 망간은 체내에서의 이동성이 좋아 윗 부분에 집적되기 쉽다. ¤ 망간은 광합성 작용, 지방산의 합성, 단백질의 합성, 그 밖에 여러 가지 효소 작용을 활성화하는 생리적 작용을 한다. ¤ 망간 결핍증세 : 위 쪽 잎이 약간 더러운 황화현상이 나타나거나 갈색반점 또는 조직의 괴사가 나타난다. ¤ 망간은 철과 길항관계가 있으며 토양의 ph가 너무 낮으면 과잉장 해가 나타날 수 있다. ☞ 구리(Cu) ¤ 구리는 체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염록체 안과 종자의 배 에 많이 축적된다. ¤ 구리는 염록체 안의 전자 운반체가 되는 물질에 들어 있고, 부족 한 경우보다 너무 많아 장해를 받는 경우가 더 많다. ☞ 아연 (Zn) ¤ 아연은 식물생장 조절물질인 옥신류의 생 합성, 그리고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리작용을 한다. ¤ 아연이 결핍되면 과수류나 토마토 등의 경엽과 키가 신장하지 못 하는 로제트병이나 소엽병에 걸리기 쉽다. ☞ 몰리브덴(Mo) ¤ 몰리브덴은 필수원소 중에 가장 적게 요구되는 성분으로서 질산화 작용을 조절하는 효소, 질산환원 효소의 구성요소가 되어 질소대 사에 관여한다. ¤ 몰리브덴이 결핍되면 늙은 잎에 황록색의 점무늬가 나타나며 심하 면 잎 가장자리가 채찍모양이나 컵 모양으로 말리는 현상이 나타 난다. ☞ 붕소(B) ¤ 붕소는 여러 가지 생장과 생리현상에 관여하여 분열조직의 발달, 꽃가루의 발아, 유관 속의 발달, 세포막의 형성, 화분관의 신장 등 에 중요한 기능을 발휘한다. ¤ 식물체내에서의 이동성이 낮고 토양의 ph가 높으면 흡수가 잘 되 지 않는다. ¤ 붕소가 결핍되면 순무와 무의 뿌리 속썩음병이나 사과와 토마토의 과실이 오그라드는 병(縮果柄)이 나타난다. ☞ 염소(CI) ¤ 염소는 광합성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외에도 효소 아밀 라아제의 활성화, 세포액의 ph의 조절기능 등의 생리적 작용을 한 다. ¤ 과잉 시 잎의 가장자리가 죽거나 황색 또는 청동색으로 변하며 조 기에 낙엽이 진다. ☞ 규소(Si) ¤ 규소는 모든 식물의 공통적 필수원소는 아니다. ¤ 화본과 식물에서는 표피세표에 침착되어 규질화 세포를 형성하여 조직기관을 튼튼하게 하여 주므로 수광태세를 좋게 하고 병충해와 도복에 대한 저항성을 높어 주어 생육과 수량에 큰 영향을 준다. ♣ 식(작)물의 생육환경 ☞ 빛 ¤ 빛은 녹색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 니라 온도를 상승시켜 식물의 기공을 열리게 하여 증산작용을 조 장시킨다. ¤ 토양은 빛이 비치는 시간이 길고 짧음에 따라 작물의 생육, 개화, 결실, 착색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 온도 ¤ 온도는 식물의 광합성, 호흡, 양분과 수분의 흡수, 동화물질의 잔 류, 증산작용 등 식물체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반응의 속 도 및 양을 지배한다. ¤ 식물에 있어서 각종 반응속도와 양은 어느 한계까지는 온도가 높 아질수록 증가하지만 그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오히려 장해를 받는다. ☞ 공기 ¤ 공기는 식물의 생육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공기가 나쁘거나 작물 을 밀식하여 통풍이 잘되지 않는 곳에서는 생육에 장해를 받게 된 다. ¤ 공기의 주요성분 함량을 보면 질소(N2) dir 79%, 산소(O2) 약 21%, 이산화탄소(CO2) 약 0.03%이고 기타 수증기, 먼지, 이산화 황 등이다. ☞ 수분 ¤ 식물은 많은 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건조된 종자라 하더라도 10%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즙식물(多汁植物)에는 70~80%, 다육식물(多肉植物)이나 과실에는 85~90% 수분이 함유 되어 있다. ¤ 물이 없으면 식물체내에서 어떠한 생리작용도 일어나지 않으며 생 명을 유지할 수 없다. ☞ 유해물질 ¤ 식물생육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원소라도 토양용액 중에 농 도가 너무 높으면 유해물질이 된다. 공장이나 광상에서 흘러나오 는 폐수 중에 Cd, Pb, Hg 등의 중금속이나 황화 수소 등은 그 양 이 적어도 식물에 몹시 해롭고 논, 밭 토양을 오염시킨다. ¤ 토양의 산도가 강한 산성일 때는 식물은 알루미늄 이온의 해를 받 을 뿐만 아니라 산성장해를 일으킨다. ☞ 결 론 ¤ 위의 빛, 온도, 공기 등은 자연의 섭리를 따를 수밖에 없지만, 공 기(산소), 수분과 토양(유해물질)은 인간의 노력으로 개선할 수 있 는 사항이고, 화학비료나 농약사용은 반드시 제한되어야 하며 이 에 대한 대책으로 수용성 규산염을 주원료로 제조된 제4종 복합 비료를 적극 권장하는 것이다. ♣ 양분흡수에 대한 외부 환경 요인의 영향 ☞ 온도와 빛 ¤ 온도 : 흡수가 극대화 되는 온도는 대부분의 식물에서 30~40범위 이다. 각종 양분의 흡수는 적온에서 가장 높고, 이보다 낮거나 높 으면 흡수가 감소된다. ¤ 빛 : 빛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비롯한 광화학반응을 통하여 양 분흡수에 영향을 준다. 녹색식물을 어두운 곳에 두면 양분의 흡수 가 점차 줄어들고 나중에는 완전히 멈추어 결국에는 체내의 양분 이 밖으로 스며 나오게 된다. ☞ ph ¤ 토양 ph는 토양양분의 화학적 형태를 변화시키고 용해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양분 흡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 ph가 4 이하 또는 9 이상이 되면 뿌리세포의 대사에 이상이 생겨 생육장애가 일어나며, ph가 3 이하가 되면 뿌리로부터 양분이 유 출되는 역류현상이 일어난다. ☞ 공기, 수분 및 양분의 농도 ¤ 토양의 통기량은 주로 토양의 구조와 수분함량에 의하여 결정되므 로 토양의 통기성을 좋게 해주어야 한다.
출처 : 멋있는 세상!!
글쓴이 : 산사람 원글보기
메모 :